
전국 의대생들이 전원 복귀한 가운데 실제 수업 참여율은 절반가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3일 각 대학 등에 따르면 고려대는 본과 2학년 74명 중 63.5%에 해당하는 47명이 수업에 참여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대 본과 4학년은 약 65%가, 연세대 본과 4학년은 47%가량이 수업을 듣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수치는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가 발표한 자체 설문 결과와 차이를 보인다. 의대협은 전날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회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5개 의대 재학생 6571명 중 실제 수업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 예정인 학생은 3.87%(254명)에 그쳤다고 밝힌 바 있다.
서울대 의대 수업 거부 수요 조사에서는 전체 응답자 668명 중 528명(79.0%)이 '수업 거부'에 투표했다. 고려대의 수강률은 1.57%(575명 중 9명)로 추산했다.
교육 당국은 "전반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현재 다수 의대가 온라인으로 수업하고 있는데 한 차례 접속도 모두 수업 참여로 치면서 참여율이 올라간 것처럼 보이는 '착시 현상'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연세대 의대 교수 517명은 이날 '학생 복귀에 대한 연세대 의대 교수의 입장'을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학생들에게 "용기를 내 학교로 돌아온 이상 젊음의 소중한 시간을 희생하지 말고 수업에 참여해달라"고 호소했다.
또 "정부는 2026년 의대 정원(모집인원) 3058명을 조속히 확정하라"며 "더 이상 학생들에 대한 압박을 중단하고, 열린 마음으로 학생들의 요구를 경청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정부는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지켜본 뒤 이달 중순께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에 대한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정상적인 의대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고 판단되면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은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돌아간다.
3일 각 대학 등에 따르면 고려대는 본과 2학년 74명 중 63.5%에 해당하는 47명이 수업에 참여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대 본과 4학년은 약 65%가, 연세대 본과 4학년은 47%가량이 수업을 듣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수치는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가 발표한 자체 설문 결과와 차이를 보인다. 의대협은 전날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회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5개 의대 재학생 6571명 중 실제 수업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 예정인 학생은 3.87%(254명)에 그쳤다고 밝힌 바 있다.
서울대 의대 수업 거부 수요 조사에서는 전체 응답자 668명 중 528명(79.0%)이 '수업 거부'에 투표했다. 고려대의 수강률은 1.57%(575명 중 9명)로 추산했다.
다만 현재 다수 의대가 온라인으로 수업하고 있는데 한 차례 접속도 모두 수업 참여로 치면서 참여율이 올라간 것처럼 보이는 '착시 현상'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연세대 의대 교수 517명은 이날 '학생 복귀에 대한 연세대 의대 교수의 입장'을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학생들에게 "용기를 내 학교로 돌아온 이상 젊음의 소중한 시간을 희생하지 말고 수업에 참여해달라"고 호소했다.
또 "정부는 2026년 의대 정원(모집인원) 3058명을 조속히 확정하라"며 "더 이상 학생들에 대한 압박을 중단하고, 열린 마음으로 학생들의 요구를 경청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정부는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지켜본 뒤 이달 중순께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에 대한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정상적인 의대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고 판단되면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은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돌아간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