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 대표는 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실질적으로 60일 안에 대선과 개헌을 하기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투표법상으로 사전투표가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개헌을 하려면 본투표일에만 할 수 있고, 사전투표장에서는 개헌 투표를 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또 이 대표는 "최선을 다해 국민투표법 개정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게재하는 것과 계엄 요건을 강화해 친위 군사 쿠데타를 할 수 없게 하는 것은 국민의힘도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특히 이 대표는 "일부 정치세력이 기대하는 것처럼 내란 종식 문제를 개헌 문제로 덮으려는 시도는 하면 안 된다"며 "지금은 내란 종식과 내란 극복을 중요하게 추진해야 한다. 개헌도 중요하지만, 더 나은 민주주의도 중요하지만, 민주주의 파괴를 막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서도 이 대표의 개헌 수용 여부는 여야 합의로 도출해야 할 일이라고 제언했다. 더구나 이 대표 입장에서 지금 와서 개헌을 받을 이유가 없다는 입장도 내놨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개헌을 해야 할 당위성이 없는 상황이다"라며 "개헌을 어떤 식으로 해야 하는지는 여야 입장이 다른데, 민주당 입장에서는 개헌이 우선순위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박 평론가는 "지금 내란 종식이 끝나지 않았고, 개헌을 할 적절한 타이밍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유력 대선 주자로서 이 대표가 개헌을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평가도 나왔다. 신율 명지대 정치학과 교수도 본지와 통화에서 "이 대표가 개헌을 거부하는 건 너무나 당연하다"며 "권력을 가질 것 같은 후보는 절대로 개헌에 찬성하지 않는다. 그 사람이 받아들인다고 생각한다고 한 것은 정치를 잘 모르는 것"이라고 일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