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105억원 투입...청년 정책 본격 추진

  • 맞춤형 주거‧일자리‧자산형성 지원

  • 청년센터 '청년고도' 등 소통공간 운영, 지역 정착 유도

지난해 10월 경주 황리단길 내 한 카페에서 성황리에 개최된 지역 청년들이 참여하는 네트워킹 프로그램 ‘경주만난데이’ 모습 사진경주시
지난해 10월 경주 황리단길 내 한 카페에서 성황리에 개최된 지역 청년들이 참여하는 네트워킹 프로그램 ‘경주만난데이’ 모습. [사진=경주시]
경북 경주시가 청년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 올해 총 105억원 규모의 청년 정책을 본격 추진한다.
 
경주시는 8일 청년고용촉진특별법, 청년기본법, 경주시 청년 기본 조례 등을 근거로 △주거 △일자리 △자산형성 △커뮤니티 공간 등 4개 분야, 23개 세부 사업을 연중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상은 경주에 주소를 둔 19세부터 39세까지의 청년이다.
 
가장 많은 예산이 투입되는 분야는 주거 안정 부문으로 사업비 79억원을 들여 청년 임대 주택과 공유 주거 공간을 조성한다.
 
이와 함께 청년 월세 한시 특별 지원, 신혼부부 월세 지원 등 주거비 부담 완화 사업도 추진한다.
 
전세 보증금 반환 보증 보증료, 전입 대학생 생활안정금 지원도 포함된다.
 
청년 일자리 분야에는 18억원이 배정됐다. 주요 사업은 ‘신(新)골든 창업특구’, ‘청년창업 지원’, ‘청년일자리 로컬솔루션 프로젝트’ 등으로 창업과 취업을 아우른다.
 
이와 더불어 중소기업과 주력 산업에 특화된 맞춤형 일자리도 추진된다.
 
자산형성 지원에는 1억5000만원이 투입된다. ‘청년근로자 사랑채움’과 ‘경주형 내일채움공제’ 등을 통해 장기 근속을 유도하고, 청년의 자산 축적을 돕는 구조다.
 
청년 간 소통과 자립 기반 마련을 위한 공간 조성도 활발하다. 시는 청년센터 ‘청년고도(靑年高道)’를 중심으로 ‘청년 감성상점’, ‘꿈이음 청춘카페’ 등 커뮤니티 공간 3곳을 운영 중이며, 관련 예산 6억원을 편성했다.
 
정서적 안정과 사회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도 강화한다. 화랑마을과 연계한 야외 수련 활동, 청년 대상 정신 건강 프로그램, 심리 상담 지원 등이 대표적이다.
 
경주시는 정책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시민 원탁회의와 참여자 만족도 조사를 통해 청년 의견을 수렴하고 있으며,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와 공인중개사무소를 통한 오프라인 홍보와 온라인 플랫폼도 운영 중이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청년이 떠나지 않고 머무는 도시가 되려면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이 필요하다”며 “앞으로도 청년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맞춤형 지원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