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 산불 피해 복구…"다시 스마일 안동으로"

  • 권기창 시장, 언론 브리핑 통해 피해 현황과 복구 계획 상세히 밝혀

권기창 안동시장이 10일 언론 브리핑을 통해 대형 산불의 피해 현황과 향후 복구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안동시
권기창 안동시장이 10일 언론 브리핑을 통해 대형 산불의 피해 현황과 향후 복구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안동시]
경북 안동시는 10일 언론 브리핑을 통해 최근 안동을 포함한 경북 북동부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의 피해 현황과 향후 복구 계획을 상세히 밝혔다.
 
브리핑에서는 산불 발생에서 진화에 이르기까지의 경과, 피해 규모, 종합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이번 산불은 지난 3월 22일 오전 11시 24분경 의성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인근으로 급속히 확산돼 안동 관내 7개 면에 걸쳐 광범위하게 번졌다. 이후 96시간 만인 3월 28일 오후 5시에야 주불이 진화됐다.
 
이번 산불로 산림 약 3만4529㏊가 소실됐고, 인명 피해는 10명(사망자 4명, 부상자 6명)에 달했다.
 
또한 총 1433동의 주택 피해를 입었으며, 총 5350명의 주민이 대피했다. 현재까지도 1190명이 아직 체육관, 마을 경로당, 선진주거시설 등 임시 대피소에서 생활하고 있다.
 
안동시는 주불 진화 직후 피해 현황 조사와 복구 작업에 착수했다. 임시 거주지 마련을 위해 선진이동주택 976동을 공급하고 있으며 5월 초 입주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다. 이와 함께 4월 9일부터 공공임대주택 74호를 활용한 긴급 주거 지원도 병행하고 있다.
 
농업 분야 피해 복구를 위해 시는 농기계 장·단기 무상 임대 및 종자 보급 등 영농 재개를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피해 기업 지원을 위한 원스톱 지원센터 운영, 소상공인을 위한 경영 자금, 소상공인 융자, 이차 보전 등의 정책도 추진한다.
 
산불로 인한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시는 긴급벌채·사방사업·조림사업 등을 신속히 시행한다. 주요 도로변, 민가 주변, 계곡부에 벌채를 시행하고 66개 소의 사방댐을 설치해 산사태를 예방할 계획이며, 피해 산림에는 밀원수와 경제수를 식재할 방침이다.
 
산불 발생으로 방문 예약이 취소되고 관광객이 감소하는 등 간접 피해도 이어지고 있다. 이에 시는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6월 말까지 관광택시 요금 지원을 확대하고 여행 상품을 할인하는 등 다양한 관광 활성화 정책을 추진한다.
 
하반기에는 행사 및 축제를 재개하는 등 ‘피해 지역을 방문하는 것이 곧 일상 회복을 돕는 기부’라는 생각으로 더 많은 관광객이 안동을 찾을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이다.
 
한편 안동형 회복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32개 사업 2조180억원의 국비 지원을 정부에 건의했고, 국공유지 내 임시 주거용 조립주택 설치 사용 허가, 산불 피해 농업 분야 피해 복구 지원 확대 등도 적극 건의해 산불 피해 복구 관련 제도 개선을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
 
안동시는 ‘다시 스마일 안동’을 목표로, 피해 주민의 보이지 않는 아픔까지 세심하게 살피며 일상 회복을 끝까지 책임진다는 방침이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안동시는 피해 복구와 일상 회복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며 “이번 산불의 상처는 깊지만, ‘함께’라는 힘을 믿으며 우리는 다시 일어설 것이다. 안동을 걱정하고 사랑하는 한 분 한 분의 따뜻한 마음을 새겨, 그 뜨거움으로 ‘다시 스마일 안동’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