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6·3 경선룰 '국민50%·당원50%' 확정…김두관 '보이콧'

  • 민주 중앙위, 국민참여경선으로 최종 확정

  • 김두관 측 "무소속 출마 고려"…3파전 전망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선관위 1차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선관위 1차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6·3 대선 경선룰을 '국민참여경선'으로 확정했다. 19대 대선 이후 8년 만에 기존 국민경선 방식에서 국민참여경선으로 바꾼 셈이다. 이재명 전 대표에게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는 경선 변경에 김두관 전 의원은 강하게 반발하며 '경선 보이콧'을 선언했다. 이에 따라 4파전이었던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은 김동연 경기지사, 김경수 전 경남지사, 이 전 대표의 3파전으로 재편됐다.

민주당 중앙당선거관리위원회는 14일 오후 국회에서 1차 회의를 열고 '21대 대선 후보자 선출 규정'을 위한 특별당규 제정의 건을 의결했다.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를 합산해 대선 후보를 선출한다(국민참여경선)는 내용이 골자다. 

권리당원이 아닌 일반 국민은 당 경선에 직접 투표권을 행사할 수 없는 것인데 이는 그간 민주당이 진행해 온 '완전국민경선'과 배치된다. 민주당은 18대 대선 때부터 당 대선 경선에서 당원 1표와 일반 유권자 1표가 같은 가치를 갖는 완전국민경선제를 택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대선특별당규 준비위원회는 당원 주권 강화와 역선택 방지를 위해서 '국민참여경선'을 선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명계 대선 주자들은 즉각 반발했다. 국민참여경선은 당권 장악력이 미약한 비명계 대선 주자들에게는 가장 불리한 경선 방식이기 때문이다. 민주당에서 가장 먼저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 전 의원은 당 경선에 불참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 전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저버린 민주당 경선을 거부할 것"이라며 "당분간 국민과 나라를 위해 제가 어떤 정치적 행보를 하는 것이 좋을지, 조언도 듣고 깊은 숙고의 시간을 가질 계획이다. 그리 길지는 않을 것"이라고 했다. 김 전 의원 측은 탈당 후 무소속 출마까지 고려하고 있다. 김 전 의원 측 핵심 관계자는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탈당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거기까지도 열어놓고 움직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측근 만류에도 경선에 참여키로 했다. 다만 확정된 경선룰에 대해서는 쓴소리를 내뱉었다. 김 지사는 경선룰 관련 기자회견에서 "민주당의 원칙인 국민경선이 무너진 점을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유불리에 연연하지 않고 당당하게 가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