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주선 대한석유협회 회장이 15일 서울 영등포구 대한석유협회에서 열린 석유산업 현황 및 업계 현안 공유 기자간담회에서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사진=대한석유협회]
"미·중 관세 전쟁 속 국내 정유산업은 올해도 혹한기를 맞을 겁니다. 정유업계도 정부 지원 없이는 독자 생존과 지속 가능한 성장이 불가능합니다."
박주선 대한석유협회 회장이 15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정유산업 위기 돌파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을 호소했다.
박 회장은 "우리나라는 기름 값의 50% 이상이 세금으로 나가고, 나머지 운반비와 정유 비용으로 소비돼 정유사들이 가져가는 이익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기준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3개국 중 휘발유 가격이 가장 낮았다. 세금을 포함할 경우 OECD 국가 평균 휘발유 가격인 ℓ당 1236원보다 약 478원 낮고, 세금을 제외해도 246원 저렴하다.
국내 정유 4사(SK에너지, GS칼텍스, HD현대오일뱅크, 에쓰오일)의 2007~2024년 평균 영업이익률은 1.6%에 불과하다. 같은 기간 국내 제조업 평균 영업이익률이 6%대인 것과 대조적이다.
박 회장은 △원료용 증유 개별소비세 면세화 △임시투자세액공제 제도(임투제)에 대기업 포함 △생산-수입 LPG간 수입부과금 형평성 개선 등 구체적인 지원책을 제시했다.
그는 "최근 임투제가 개정되며 정유사들이 대기업이란 이유로 제도 밖에 놓이게 됐다"며 "지속가능항공유(SAF) 등 미래 산업 투자가 지연되고 내수가 위축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의 세수 부족 등을 언급하며 "가난한 집에서 배가 고프더라도 내년 사용할 종자는 남기는 것처럼 아무리 어려워도 기간산업인 정유산업의 육성·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회부의장을 지낸 4선 중진의 박 회장은 지난 2022년 10월부터 대한석유협회 회장을 맡고 있다.
박주선 대한석유협회 회장이 15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정유산업 위기 돌파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을 호소했다.
박 회장은 "우리나라는 기름 값의 50% 이상이 세금으로 나가고, 나머지 운반비와 정유 비용으로 소비돼 정유사들이 가져가는 이익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기준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3개국 중 휘발유 가격이 가장 낮았다. 세금을 포함할 경우 OECD 국가 평균 휘발유 가격인 ℓ당 1236원보다 약 478원 낮고, 세금을 제외해도 246원 저렴하다.
국내 정유 4사(SK에너지, GS칼텍스, HD현대오일뱅크, 에쓰오일)의 2007~2024년 평균 영업이익률은 1.6%에 불과하다. 같은 기간 국내 제조업 평균 영업이익률이 6%대인 것과 대조적이다.
박 회장은 △원료용 증유 개별소비세 면세화 △임시투자세액공제 제도(임투제)에 대기업 포함 △생산-수입 LPG간 수입부과금 형평성 개선 등 구체적인 지원책을 제시했다.
그는 "최근 임투제가 개정되며 정유사들이 대기업이란 이유로 제도 밖에 놓이게 됐다"며 "지속가능항공유(SAF) 등 미래 산업 투자가 지연되고 내수가 위축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의 세수 부족 등을 언급하며 "가난한 집에서 배가 고프더라도 내년 사용할 종자는 남기는 것처럼 아무리 어려워도 기간산업인 정유산업의 육성·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회부의장을 지낸 4선 중진의 박 회장은 지난 2022년 10월부터 대한석유협회 회장을 맡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