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약보합으로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가 관세 부과나 발언을 자제하면서 시장은 일단 관망세에 들어간 모습이다. 하지만 미·중 간 무역협상의 주도권을 둘러싼 신경전은 여전히 이어지면서 긴장감은 올라갔다.
1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55.83포인트(0.38%) 내린 4만368.96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9.34포인트(0.17%) 하락한 5,396.63, 나스닥종합지수는 8.32포인트(0.05%) 떨어진 1만6823.17로 거래를 마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별도의 관세 조치나 관련 발언을 내놓지 않았지만, 백악관이 중국을 향해 협상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공은 중국으로 넘어갔다"며 "중국은 우리와 협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레빗은 "중국과 다른 나라 사이에 차이는 없고 단지 그들이 훨씬 더 클 뿐"이라며 "중국은 우리가 가진 것, 모든 나라가 원하는 것, 즉 미국 소비자를 원하고 우리의 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중국은 트럼프가 급할 것이라고 짐작한 듯 무역협상에 시간끌기에 나섰다. 미·중 무역협상이 길어지면서 시장에선 긴장감이 계속될 전망이다.
래리 텐타렐리 블루칩데일리트렌드리포트 설립자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면서도 "(관세 뉴스가) 언제든 헤드라인을 장식할 수 있고, 시장이 3% 하락할 수 있다는 게 문제"라고 분석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와 씨티그룹은 1분기 실적이 기대치를 웃돌면서 각 4%와 2% 넘게 상승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급변동성을 낳으면서 주석 거래 부문 수익이 급증한 결과다.
업종별로는 혼조 양상이었다. 1% 이상 등락한 업종은 없었으며 임의소비재가 1% 가까이 하락했다. 넷플릭스는 경영진이 사세 확장에 대한 낙관적 기대감을 보인 후 주가가 5% 이상 뛰었다.
세계 최대 항공기 제작사 보잉은 중국 정부가 대미 보복 조치를 내린 여파로 주가가 2% 가량 하락했다. '인공지능(AI) 방산주'로 꼽히는 팔란티어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AI 시스템을 수주했다는 소식이 이틀 연속 강세를 보였고 주가는 6% 이상 상승했다.
이날 발표된 3월 미국 수입물가지수는 전달보다 0.1% 하락했다. 지난해 9월(0.4% 하락) 이후 6개월 만에 다시 하락세다.
4월 미국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제조업 경기지수는 -8.1로 시장 예상(-12.4)만큼 악화하진 않았으나 위축 국면은 벗어나지 못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6월 말까지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전날 마감 무렵 28%로 올라갔다. 반면 50bp(1bp=0.01%포인트) 인하 확률은 11.3%로 내려갔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77포인트(2.49%) 밀린 30.12를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