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중구 을지로 하나은행 본점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달러화를 정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심혈을 기울이던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에 성공했지만 편입 시작 시점이 연기되면서 급변동하는 환율이 영향을 미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환율 불안정 기조가 길어지면 외국인 자금 유입 속도가 느려지거나 최악의 상황에서는 WGBI 편입에서 제외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6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글로벌 지수 제공업체인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 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은 한국의 WGBI 편입 시작 시점을 11월에서 내년 4월로 변경했다. 당초 우리나라는 올해 11월 WGBI에 편입돼 분기별로 편입 비중이 늘어나 내년 11월 편입이 마무리될 예정이었다.
기획재정부는 국채 시장의 영향력이 큰 일본 투자자들의 투자 환경 개선 등 기술적인 문제로 편입이 연기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WGBI 편입 연기에 변동성이 심화된 환율이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미국의 환율 관찰 대상국 지정에 이어 지난해 12·3 비상계엄 이후 환율 변동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16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글로벌 지수 제공업체인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 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은 한국의 WGBI 편입 시작 시점을 11월에서 내년 4월로 변경했다. 당초 우리나라는 올해 11월 WGBI에 편입돼 분기별로 편입 비중이 늘어나 내년 11월 편입이 마무리될 예정이었다.
기획재정부는 국채 시장의 영향력이 큰 일본 투자자들의 투자 환경 개선 등 기술적인 문제로 편입이 연기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WGBI 편입 연기에 변동성이 심화된 환율이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미국의 환율 관찰 대상국 지정에 이어 지난해 12·3 비상계엄 이후 환율 변동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아주경제 그래픽팀]
FTSE 러셀이 한국의 WGBI 편입을 결정한 것은 지난해 10월이다. 그러나 다음 달인 지난해 11월 미국 재무부는 한국을 환율 관찰 대상국으로 지정했다. 미 재무부는 교역 규모가 큰 20개국을 대상으로 무역흑자, 경상흑자, 당국의 외환시장 개입 등을 살펴본다. 이 중 두 가지 기준을 충족하면 환율 관찰 대상국, 세 기준을 모두 충족하면 환율 심층 분석국으로 지정한다.
평가기간인 지난 2023년 7월~2024년 6월 기준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기준치(150억 달러)를 웃도는 500억 달러, 경상흑자는 평가 기준(3%)을 뛰어넘는 3.7%다. 당시 외환 당국의 외환시장 개입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지난해 비상계엄 이후 환율 변동성이 커지자 외환 당국의 외환시장 개입이 계속되고 있다. 만일 당국의 외환시장 개입 규모가 늘어나 심층 분석국으로 분류되면 미국 조달시장 접근이 제한되면서 외국인 자금 유입에 어려움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완화되기는 했지만 외국인 투자자들이 불안감을 느낄 가능성도 있다. 국내 경제 정책의 예측 가능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리스크 회피 심리가 강화돼 자본이 빠져나가 환율 변동성이 커지게 될 가능성이 생긴 것이다.
이러한 악재가 겹칠 경우 한국의 WGBI 편입이 물 건너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부는 WGBI 편입 여부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WGBI 편입 시작 시점이 연기된 것도 한국이 첫 사례인 만큼 이를 단언할 수는 없다.
만일 WGBI 편입이 좌초될 경우 한국 국채 시장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들에 대한 신뢰도는 회복할 수 없는 타격을 입게 된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국채 매도에 나설 경우 국내 채권시장의 금리가 오를 가능성도 있다. 원화 가치가 하락해 환율이 오르는 악순환도 추가로 발생한다. 특히 한국 국채에 대한 매력이 떨어지는 만큼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어 재정 운용에 한계가 생긴다.
정상적으로 WGBI에 편입되더라도 환율 변동성이 커지면 외국 자본 유입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환율이 요동칠 경우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 환차손(환율 변동에 따른 손해) 위험이 커지는 만큼 투자 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외국인 자금 유입 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늦어질 가능성도 있다.
평가기간인 지난 2023년 7월~2024년 6월 기준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기준치(150억 달러)를 웃도는 500억 달러, 경상흑자는 평가 기준(3%)을 뛰어넘는 3.7%다. 당시 외환 당국의 외환시장 개입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내다봤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완화되기는 했지만 외국인 투자자들이 불안감을 느낄 가능성도 있다. 국내 경제 정책의 예측 가능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외국인 투자자들의 리스크 회피 심리가 강화돼 자본이 빠져나가 환율 변동성이 커지게 될 가능성이 생긴 것이다.
이러한 악재가 겹칠 경우 한국의 WGBI 편입이 물 건너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부는 WGBI 편입 여부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WGBI 편입 시작 시점이 연기된 것도 한국이 첫 사례인 만큼 이를 단언할 수는 없다.
만일 WGBI 편입이 좌초될 경우 한국 국채 시장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들에 대한 신뢰도는 회복할 수 없는 타격을 입게 된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국채 매도에 나설 경우 국내 채권시장의 금리가 오를 가능성도 있다. 원화 가치가 하락해 환율이 오르는 악순환도 추가로 발생한다. 특히 한국 국채에 대한 매력이 떨어지는 만큼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어 재정 운용에 한계가 생긴다.
정상적으로 WGBI에 편입되더라도 환율 변동성이 커지면 외국 자본 유입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환율이 요동칠 경우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 환차손(환율 변동에 따른 손해) 위험이 커지는 만큼 투자 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외국인 자금 유입 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늦어질 가능성도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