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가림의 금융레터] 콘서트 예매, 용돈 앱, 알뜰폰…1020 모시는 은행

  • 10대 전용 플랫폼·상품 출시

  • 젊은층 열광 티켓판매 플랫폼 개발도

우리WON모바일 광고 캡처 사진우리은행
우리WON모바일 광고 캡처 [사진=우리은행]
금융권이 10대와 20대를 겨냥한 비대면 중심 서비스와 플랫폼 개발에 나서고 있다. 이들은 IT부터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게임, 엔터테인먼트 등 여러 분야를 넘나드는 주력 소비층인 만큼 일찌감치 고객으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티켓판매 플랫폼 개발·운영을 위한 인재 영입에 나서고 있다. 

비대면 앱을 찾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공연과 뮤지컬, 전시 등 예매시장에 진출하겠다는 것이 우리은행의 목표다. 콘서트 주요 소비자는 10대와 20대가 주를 이루는 만큼 경쟁력 있는 티켓 상품을 직접 제공해 신규 고객을 흡수한다는 전략이다. 

우리은행은 합리적 소비를 추구하는 젊은층을 겨냥해 알뜰폰 시장에도 진입했다. 알뜰폰 업계 최초로 18세 이하 청소년이 비대면으로 셀프 개통이 가능하게 하는 등 1020세대에 대한 문턱을 낮췄다. 향후 티켓, 통장, 카드 등과 연계한 상품을 내놓을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은행권은 Z세대(1990년대 중후반~2010년 초반 출생)와 알파세대(2010년~2024년까지 태어난 세대)를 사로잡기 위해 관련 상품을 내놓거나 전문조직을 꾸리고 있다. 이들을 일찍이 고객으로 삼으면 향후 충성고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공을 들이고 있다. 최근 카카오뱅크·토스와 같은 인터넷전문은행에 젊은층의 수요가 몰리자 시장을 지키기 위한 신사업을 강화하려는 의지도 녹아있다. 

다른 은행들도 10대 금융플랫폼을 내놓고 서비스를 추가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청소년 전용 서비스인 'KB스타틴즈'를 내놨다. 10대 청소년 고객은 수수료 없이 송·입금할 수 있고 올리브영, 다이소 등에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신한은행은 '리틀 신한 케어'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아이 맞춤 상품 보기, 아이·청소년 행복 바우처, 증여 관련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하나은행은 용돈을 받을 수 있는 '아이부자' 앱이 있다. 자녀가 재학 중인 학교의 급식표, 시간표 등을 앱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