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부동산 정보업체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4월 서울 아파트의 상승 거래 비중은 45.3%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보다 4.1%포인트(p) 하락한 수치다.
직전 거래가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된 ‘상승 거래’ 비중이 월간 기준으로 감소한 것은 올해 들어 처음이다. 서울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은 지난해 11월 46.1%에서 같은 해 12월 40.9%로 감소했으나 올해 1월 44.3%, 2월 48.2%, 3월 49.4% 등으로 매월 오름세를 보였다.
상승 거래 비중이 줄면서 하락 거래 비중(36.3%)은 전월 대비 3.7%p 증가했으며, 보합 거래 비중도 지난 3월 17.9%에서 이달 18.4%로 늘었다.
지난달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로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 재지정되면서 시장 관망세가 짙어진 것이 상승 거래 하락의 원인으로 꼽힌다.
직방 관계자는 "토허구역 재지정에 따른 시장 관망세에 최근 가격 급등으로 인한 부담이 겹치며 거래건수는 물론 상승 거래도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상승 거래가 전체적으로 감소했음에도 강남구 등 토허구역 내에서는 오히려 상승 거래 비중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남구는 이달 상승 거래 비중이 80%로 전월(60%)보다 급증하며 4개월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다. 재지정 이전부터 토허구역에 속해 한 달여 만의 확대 재지정 영향이 크지 않은 단지들을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진 영향이다.
송파구도 상승 거래 비중이 전월보다 4%p 증가한 53%를 기록했고, 용산구도 3월 58%에서 이달 67%로 늘어났다.
토허구역 재지정으로 풍선 효과가 우려됐던 양천구(55→53%), 광진구(54→24%), 동작구(54→50%), 성동구(50→46%), 마포구(49→44%), 중구(47→29%), 서대문구(43→38%) 등도 상승 거래 비중이 줄어드는 등 관망세가 여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직방 관계자는 "현재는 관망세가 유지되고 있으나 이는 곧 결국 언제든 시장에 들어올 수 있는 대기 수요"라며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과 공급 부족 리스크 등이 있기 때문에 시장 흐름에 따라 언제든 상황이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