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양행, 美암학회서 면역항암제 임상 1상 결과 발표

사진유한양행
서울 동작구 대방동에 위치한 유한양행. [사진=유한양행]
유한양행은 28일(현지 시각)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YH32367'(ABL105) 임상시험 1상 결과를 공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폐암 치료제 '렉라자(성분 레이저티닙)'의 임상 3상 연구에서 1차 치료 시 저항성 기전 분석 결과다.

유한양행이 에이비엘바이오와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면역항암제 YH32367은 인간표피 성장인자 수용체 2형(HER2) 발현 종양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해 T 면역세포 활성 수용체인 4-1BB를 동시에 자극한다. 면역세포의 항암 작용을 증가시키는 작용 기전을 통해, 종양 특이적 면역 활성을 높이는 동시에 종양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이중항체인 것이다.

이 임상시험은 HER2 양성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YH32367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PK) 및 항종양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최초 인간 대상 임상 1·2상이다. 연구는 용량 증량 파트와 용량 확장 파트로 이뤄져 있다. 

이번에 발표된 결과는 한국과 호주에서 진행된 용량 증량 파트로, 2022년 10월부터 총 32명의 환자(담도암 14명, 위암 9명, 기타 고형암 9명)가 등록돼 0.3 mg/kg에서 30 mg/kg까지 8단계의 용량을 단계적으로 증량했으며, 3주 간격으로 투여됐다.

임상시험 결과, 모든 용량에서 용량 제한 독성(DLT) 반응이 없었으며, 최대 내약용량(MTD)에 도달하지 않았다. 치료 관련 이상반응(TRAEs)은 10명(31%)에서 보고되었고, 주로 발열과 오한으로 대부분 1-2 등급의 경미한 수준이었다. 

측정 가능한 병변이 있는 환자 31명 중 7명이 부분반응(PR)을, 10명이 안정질병(SD)으로 평가돼 23%의 객관적 반응률(ORR)과 55%의 질병 조절률(DCR)을 보였다. 

김열홍 유한양행 연구개발(R&D) 총괄 사장은 "이번 AACR에서 발표된 임상 데이터를 통해 YH32367의 우수한 안전성 프로파일과 고무적인 항종양 활성을 확인했다"며 "현재 2개 후보 용량을 선정해 HER2 양성 담도암과 다양한 고형암 환자 대상으로 한국, 호주, 미국에서 용량 확장 파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에 참여한 조병철 교수는(연세 암병원 종양내과) "이번 저항성 분석을 통해 렉라자의 저항성 기전을 이해하여 향후 이를 보완할 치료 전략을 세울 수 있는 좋은 자료를 확보함과 동시에 렉라자의 표피 성장인자 수용체(EGFR) 변이 비소세포암에 대한 강력한 억제 효과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