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5월 중순부터 유심 초기화 도입 추진…칩 교체와 같은 효과"

  • 유심 초기화도 매장 방문해야

SK텔레콤 해킹 사고로 인해 유심 교체 수요가 늘어나며 알뜰폰 가입자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29일 서울 한 알뜰폰 매장에 유심이 진열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SK텔레콤 해킹 사고로 인해 유심 교체 수요가 늘어나며 알뜰폰 가입자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29일 서울 한 알뜰폰 매장에 유심이 진열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가입자 정보 해킹 대책으로 무상 유심 교체를 진행 중인 SK텔레콤이 다음 달 중순께 ‘유심 포맷(초기화)’을 적용하겠다고 29일 밝혔다. 유심 재고 부족 등 난항을 해결하기 위한 조치다.
 
SK텔레콤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유심 재고 부족, 로밍 이용 고객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네트워크인프라센터 등 개발 역량을 총동원해 유심 소프트웨어 변경(유심 포맷) 방식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은 가입자 유심 유출 사건이 일어나자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 권유와 함께 전날부터 무료로 유심을 교체해 주고 있다. 
 
하지만 이용자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매장에 긴 대기 줄이 늘어서고 온라인 예약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며 소비자 불만이 쌓였다. 
 
SK텔레콤의 유심 보유분이 이달 100만개, 다음 달 500만개가량으로 알뜰폰 포함 전체 가입자 2500만명 유심을 대체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유심 교체 방안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됐다.
 
SK텔레콤은 물리적 유심 교체를 해결하는 방안 중 하나가 유심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는 ‘유심 포맷’이라며 소프트웨어 변경에 의한 포맷 작업이 교체에 준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앱 재설정 및 데이터 백업 등 물리적 유심 교체에 수반되는 불편이 최소화되고 소요 시간도 줄어든다고 덧붙였다.
 
다만 유심 포맷 역시 이용자가 매장을 방문해 유심 변경과 관련한 시스템 매칭 작업을 거쳐야 한다.
 
한편, SK텔레콤은 5월 중순부터 유심 보호 서비스를 해외 로밍 때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자는 이날 기준 1000만명을 넘어서고 다음 달 초까지 1500만명에 이를 것으로 SK텔레콤은 예상했다.
 
29일 하루 유심 보호 서비스에 SK텔레콤 망 사용 알뜰폰 이용자 5만명을 포함해 150만명이 가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