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가 30일 감세 정책을 통해 중산층을 두텁게 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대하빌딩에 위치한 선거캠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중산층을 힘들게 하는 세금 부담을 줄이겠다"고 밝혔다.
그는 "물가상승으로 실질임금이 감소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물가상승률이 반영되지 않은 과세표준과 공제액 탓에 지난해 국세 대비 근로소득세 비중이 18%를 넘어설 정도로 K-직장인의 삶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김 후보는 종합소득세에 물가연동제 도입과 함께 △기본공제액을 현행 150만 원에서 300만 원 △70세 이상 경로우대자 공제액을 100만 원에서 200만 원 △장애인 공제액을 200만 원에서 300만 원으로 각각 상향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기업 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도 제시됐다. 김 후보는 법인세 최고세율을 24%에서 21%로 인하하고, 6세 이하 자녀에 대한 보육수당 비과세 한도를 자녀 1인당 20만 원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상속세제 개편도 공약에 포함됐다. 김 후보는 "OECD 평균 26%에 비해 현저히 높은 상속세 최고세율(50%)을 경쟁국 수준으로 낮추고, 배우자 간 상속세 전면 폐지, 그리고 현행 유산세 방식을 유산취득세 방식으로 전환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이번 감세 공약은 우리 경제의 중추인 중산층을 위한 필수 정책"이라며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춰 세제를 정상화하면 중산층이 더욱 두터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