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잠재성장률 하락…양적완화 바람직한지 고민할 시점"

  • 한은·한국금융학회 공동 심포지엄 환영사

사진공동취재단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30일 "우리나라도 선진국처럼 정책금리가 제로 하한 수준에 근접하게 되면 양적완화 정책을 도입할 수 있을지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등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한은이 한국금융학회와 '우리나라 통화정책 수단의 운용 과제 및 시사점'을 주제로 개최한 정책 심포지엄 환영사에서 "우리 경제는 저출산·고령화 심화, 잠재성장률의 추세적 하락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며 "만약 이런 수단을 활용하기 어렵다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대체 정책 수단이 무엇인지도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일부 선진국 중앙은행처럼 정책금리가 제로금리에 도달해 통화정책이 더 이상 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될 경우를 가정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이날 심포지엄은 통화정책 운영체계의 구조개혁 논의에 초점을 맞췄다.

이 총재는 "2010년대 중반 이후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추세적으로 감소할 가능성이 커지고, 거주자의 해외증권투자가 증가하는 등 유동성 수급 여건에 중대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런 변화를 고려할 때 그동안 통화정책 운영체계에서 기조적인 유동성 흡수 수단으로 주로 활용된 통화안정증권의 역할을 재점검할 필요가 생겼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은의 환매조건부증권(RP) 거래도 유동성 변화 추세에 부응할 수 있도록 개선 방향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은은 그 연장선의 심포지엄 발표를 통해 정례적인 RP 매입을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한은은 기조적인 유동성 공급을 위한 장기 RP 매입 제도와 금융 불안시 신속한 유동성 공급을 위한 대기성 RP 매입 제도 등을 함께 거론했다.

통화안정증권에 대해서는 "그 역할과 기능을 재점검해 포괄적인 운용 전략을 모색하는 등 발전적 활용 방안을 강구하겠다"며 "탄력적인 유동성 공급으로 수요 변화에 더욱 기민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