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는 제7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23~2027)에 따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5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수립했다고 2일 밝혔다.
올해 국가공간정보정책 총 예산은 5838억원 규모다. 중앙정부 3819억원(104개 사업), 지자체 2019억원(1105개 사업) 등이다.
우선 국토부는 현실 지형 등을 디지털로 전환해 현실을 분석·예측하는 '디지털 트윈' 구축과 활용 체계 분야에 예산의 68%(3993억원)를 투입하기로 했다.
아울러 공간정보에 특화된 인공지능(AI)을 플랫폼에 적용해 단순한 지도 검색에서 벗어나 지도 기반으로 다양한 답변이 가능하도록 공간 정보 제공 기능도 강화한다.
이와 함께 지하공간의 안전한 개발이 가능하도록 지하시설물 7종, 지하구조물 6종, 지반정보 3종을 통합해 관리하는 지하공간통합지도 고도화에도 착수한다. 우선 상·하수도 시설물 실측을 위한 예산 지원을 통해 지하공간 정확도 개선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 보안상 이유로 종이지도로 제공 중인 통합지도에 대용량 파일 전송 시스템도 도입한다. 보안 솔루션 적용을 전제로 온라인 데이터 파일로 이를 제공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공간정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로봇·도심항공교통(UAM) 등이 상용화되려면 고정밀 3차원 공간 정보가 먼저 구축돼야 한다"며 "디지털 트윈국토 등 공간정보 정책에 대한 적극적 투자와 지원을 통해 국민들이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부와 민간이 힘을 모을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