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지지율 상승세 탔지만…'한덕수 단일화'에 발목

  • '단일화 열망' 여론 흡수 못 한 듯…'배신자 프레임'도 문제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김문수 후보가 선출된 가운데 한동훈 후보가 승복 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김문수 후보가 선출된 가운데 한동훈 후보가 승복 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가 3일 당 최종 경선 문턱에서 고배를 마셨다. 경선 토론회를 거치며 지지율이 상승세를 탔던 한 후보가 김문수 후보에 패한 데에는 한덕수 전 총리와의 단일화 변수가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 나온다.

대선 레이스가 시작되며 한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을 저지하고, 윤 전 대통령 탄핵에 찬성한 '찬탄파'의 대표 주자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경선에선 '정치·세대·시대교체'를 앞세우며 변화를 기대하는 이들의 표심을 자극하기도 했다.

한 후보는 '임기 단축 개헌' 등을 통해 정치와 세대, 시대를 모두 재편하겠다는 구상을 내놓으며 경쟁력을 부각해 왔다. 특히 계엄 사태의 장본인인 윤 전 대통령과 사법리스크 논란을 안고 있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모두 정치판에서 퇴장시키겠다고 강조했다.

한 후보가 결선 진출까지 성공하자 당내 일각에선 한 후보의 탄탄한 '팬덤'뿐 아니라 '변화'를 바라는 당심 역시 움직인 것이라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다만 한 전 총리가 대선 출마를 공식화함에 따라 경선 내내 단일화 논의에 적극적이었던 김 후보에 표심이 옮겨간 것으로 풀이된다.

한 후보는 그간 단일화와 관련해선 '당 후보 중심'을 고수해 왔다. 한 전 총리와 단일화를 원하는 지지층이 한 후보의 소극적인 태도를 인지하고 김 후보에게 표를 몰아줬다는 해석이다.

한편으론 윤 전 대통령과 끊임없이 충돌해 온 한 후보의 기존 행보가 결국 '배신자 프레임'으로 발목을 잡았다는 의견도 나온다. 비상대책위원장과 당 대표 시절 윤 전 대통령과 갈등을 빚고, 계엄과 탄핵까지 이어지며 한 후보에 대한 당원들의 '불편한 감정'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 한 후보가 강조해온 '본선 경쟁력'이 사실상 '압도적'이지 않았다는 대목도 패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가상 양자 대결에서 한 후보의 지지율이 보수 진영 주요 경쟁자들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