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의 지난 1분기 매출은 25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주력인 메모리 사업에서 중국 업체의 추격을 받는 가운데 고대역폭메모리(HBM)가 엔비디아 공급망 진입을 못하며 전분기 대비 17% 감소했다.
반면 TSMC는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42% 급증한 8393억5000만 대만달러(약 37조원)를 기록했다. 최근 환율 변동을 고려해도 삼성전자와 TSMC의 1분기 매출 격차는 한화 기준 10조원이 넘는다.
TSMC는 미국 등 선진국의 인공지능(AI) 수요가 견조한 가운데 관세 우려로 반도체 재고 비축 수요가 몰리면서 예상보다 좋은 실적을 냈다.
지난해 두 회사 매출은 2분기에 28조원대로 비슷했고 3분기 약 3조원, 4분기 8조원, 올해 1분기 10조원 이상으로 차이가 벌어지고 있다.
메모리와 비메모리를 아우르는 종합 반도체 회사인 삼성전자와 파운드리만 하는 TSMC의 실적을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삼성전자와 TSMC가 글로벌 반도체 시장을 이끌면서 파운드리 분야에서는 직접 경쟁도 하는 만큼 매출 1위가 주는 상징적인 의미는 있다.
삼성전자와 TSMC의 격차는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현재 증권가에서 예상하는 삼성전자 DS부문의 올해 2분기 매출은 28조∼30조원 수준이다. TSMC는 2분기 매출 전망치를 284억∼292억 달러로 제시했다. 한화로 환산하면 39조∼40조원 수준으로, 삼성전자 매출 전망치보다 10조원가량 많다.
웨이저자 TSMC 회장은 이번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올해 전체 매출은 미국 달러 기준 20% 중반대의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AI 관련 수요는 계속 탄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