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 美 'SID 2025'서 차세대 혁신 디스플레이 기술 뽐내

  • 삼성D, 'EL-QD' 고휘도·고해상도 제품 선봬

  • LGD, AI 최적화 4세대 OLED 패널 등 전시

삼성디스플레이가 SID 2025에서 공개하는 400니트 고휘도 전계발광 퀀텀닷EL-QD 사진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가 'SID 2025'에서 공개하는 400니트 고휘도 전계발광 퀀텀닷(EL-QD) [사진=삼성디스플레이]
국내 양대 패널업체인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국제 무대에서 차세대 혁신 기술을 뽐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13일(현지시간)부터 오는 15일까지 미국 새너제이 맥에너리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국제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 2025' 전시회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한층 진화한 전계발광 퀀텀닷(EL-QD) 제품으로 업계의 관심을 모을 것으로 기대된다.

EL-QD는 차세대 무기발광 기술이 집약된 제품이다. 현재 상용화된 QD-OLED가 OLED에서 나온 빛이 QD 발광층을 통과하며 색을 만들어내는 광발광(PL) 방식이라면, EL-QD는 OLED 없이 전기신호가 직접 QD로 구성된 R·G·B(적·녹·청) 픽셀을 빛내는 전계발광 방식이다. 색 정확도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전력 소비도 줄일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이번에 선보이는 EL-QD는 400니트 고휘도 제품과 264PPI(1인치당 픽셀 수) 고해상도 제품이다.

고휘도 제품은 지난해 공개한 제품 대비 화면이 50% 이상 밝아졌다. 지금까지 공개된 제품 중 최고 밝기다. 고해상도 제품은 픽셀 밀도가 지난해 공개한 EL-QD 제품(202PPI)보다 높아진 264PPI에 달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성과를 논문으로 발표해 SID로부터 '올해의 우수 논문'으로 선정됐다.

또 패널에서 나온 빛으로 심박수와 혈압 등 건강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첨단 센서 기술 '유기광다이오드(OPD)'를 비롯해 1.4인치 크기에 5000PPI를 구현한 초고해상도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등 혁신 제품도 선보인다.
 
사진LG디스플레이
[사진=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는 '미래를 만들어가는 디스플레이 기술'을 주제로 대형·중형·차량용을 아우르는 OLED 풀라인업을 공개했다.

대형 OLED 존에서는 '대세화를 위한 또 한번의 진화'를 주제로 4세대 OLED 패널의 우수성과 이를 적용한 TV 및 게이밍 패널을 선보였다. 4세대 OLED 패널은 RGB 소자를 독립적으로 쌓아 빛을 내는 독자 기술인 '프라이머리 RGB 탠덤' 구조를 적용했다. 이를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인 최대 휘도인 4000니트를 달성했다.

LG디스플레이는 4세대 OLED 패널로 인공지능(AI) TV부터 게이밍 OLED 등 프리미엄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27인치 게이밍 OLED'는 기존 3세대 OLED를 적용한 제품과 4세대 OLED를 적용한 신제품을 비교 시연해 개선된 휘도와 색 재현율 등 진화한 게이밍 OLED를 체험할 수 있도록 전시했다.

하나의 모니터로 게임부터 영화 감상까지 다양한 콘텐츠에 최적화할 수 있는 LG디스플레이의 독자 기술 'DFR(Dynamic Frequency&Resolution)'도 주목받았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존에서는 '신기술을 통한 사업 확대'를 주제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솔루션과 P(플라스틱)-OLED, ATO(Advanced Thin OLED), 하이엔드 LTPS(저온다결정실리콘) LCD 등을 적용한 콘셉트카를 공개했다.

LG디스플레이 연구팀은 이번 'SID 디스플레이위크 2025'에서 4세대 OLED 연구 성과를 비롯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 선행연구 논문 16편을 발표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