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미국 대선에서 고령 논란으로 재선 도전을 중도 포기했던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휠체어를 사용할 가능성이 내부적으로 논의됐다고 13일(현지시간) 미 인터넷매체 악시오스가 보도했다.
악시오스는 자사 기자 알렉스 톰슨, CNN 제이크 태퍼가 공동 집필한 책 ‘오리지널 신’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이 책은 바이든 전 대통령의 임기 마지막 2년에 대해 정통한 200명 이상의 인사들과 인터뷰로 구성됐다.
이달 20일 출간될 예정인 이 책에 따르면 바이든 전 대통령은 2023~2024년 기간 중 신체적으로 크게 쇠약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척추가 퇴화하면서 걸음걸이가 불안정해졌다.
모금 행사에 앞서 클루니가 바이든 당시 대통령에게 먼저 인사했는데, 보좌진이 “대통령님, 조지 알지요?”라고 하자 바이든은 “그래요, 그래요. 와줘서 고마워요”라고 반응했다. 이에 대해 저자들은 바이든 전 대통령이 클루니를 알아보지 못한 것이 분명했다고 주장했다.
클루니는 그다음 달 뉴욕타임스(NYT) 기고문을 통해 바이든의 재선 포기를 촉구했다. 이는 바이든이 후보직을 사퇴하고 카멀라 해리스 당시 부통령을 지지하게 된 결단에 상당한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바이든 전 대통령은 현직이던 지난 2023년 공군사관학교 졸업식 행사에 참석했다가 연설무대 바닥에 있는 모래주머니에 발이 걸리면서 넘어진 바 있다. 또 그는 2021년에는 대통령 전용기를 타기 위해 계단을 오르다가 넘어지기도 했다.
이와 관련, 당시 대통령 주치의는 사적으로 바이든 전 대통령의 나이를 고려할 때 “또 한 번 심각한 낙상이 발생한다면 회복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휠체어가 필요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바이든 전 대통령에 대한 휠체어 사용 문제가 내부적으로 논의됐으나 대선 이후까지는 그렇게 할 수 없었다고 전했다. 책은 바이든 전 대통령과 그의 가족, 백악관 관료들이 바이든 전 대통령의 신체·정신적인 쇠퇴 징후를 인지했음에도 재선 운동을 강행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바이든 전 대통령 측은 “의료 검진에서 척추 마모로 인해 걸음걸이가 경직된 것은 확인됐으나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았다”라면서 “그(바이든)는 이 문제를 투명하게 공개했고 이는 결코 심각하지 않았다”라고 반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