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미·일 관세협상과 관련해 6월 중순 캐나다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염두에 두고 논의를 진행해갈 것이라고 25일 밝혔다.
교도통신과 지지통신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는 이날 해상자위대 호위함 시찰 행사를 위해 방문한 교토 마이즈루시에서 기자들과 만나 "G7 정상회담을 염두에 두고 논의를 진행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시바 총리는 특히 조선 분야에서의 미·일 협력 가능성을 강조하며 "조선업 분야에서 정부 차원의 지원도 해나가고 싶다"고 밝혔다. 이어 "쇄빙선은 일본 기술이 상당한 우위를 갖고 있다"며 "북극항로 활용도 포함해 쇄빙선이 (미·일) 협력의 한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이시바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3일 전화 통화를 통해 G7 정상회의에서의 양자 회담 개최 의사를 교환한 바 있다.
미국과 일본은 지난 23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제3차 관세협상을 진행했다. 협상에서는 양국 간 무역 확대, 비관세 조치, 경제안보 협력 등의 주제가 논의됐다.
이시바 총리는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이 일본 측 대표로 참여한 3차 미·일 협상에 대해서는 "무역 확대, 비관세 조치, 경제안보 협력에 대해 구체적인 논의가 있었고, 진전도 있었다"고 평가했다.
아카자와 재생상도 3차 협상 직후 기자들과 만나 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릴 미·일 정상회담을 염두에 두고, 각료 간에도 긴밀히 조율을 이어가기로 했다며 "정상회담을 기회로 무언가 합의가 돼 있다면 매우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아카자와 재생상은 "우리나라(일본)에는 지켜야 할 국익이 있어서 빨리 합의만 하면 좋다는 것은 아니다"라며 "기한을 정해서 협상하면 대체로 기한을 생각하는 쪽이 진다"고 말했다.
미국 측은 2차 협상에서 철강·알루미늄(25%), 자동차(25%) 관세는 협의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했고, 모든 국가에 공통 적용되는 10%의 상호관세 역시 조정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다만 일본에만 추가로 부과된 14%의 상호관세 항목에 한해 조정 가능성을 열어뒀다.
하지만 일본 측은 자동차 관세를 포함한 전반적인 관세 체계의 재검토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