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올 4분기 캄보디아·한국 국가간 QR 간편결제·정산서비스 개발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캄보디아 KB프라삭은행 고객이 국내 KB국민은행 가맹점에서 QR로 거래를 하면 프라삭은행 계좌에서 돈이 정산되는 시스템이다. 올 3분기에는 KB국민은행 고객이 캄보디아 현지 가맹점에서 QR거래가 가능해진다.
KB국민은행 자회사인 KB프라삭은행은 올 1분기 저원가성 예금 확대에 힘입어 564억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QR 코드를 스캔해 결제하는 방식이 빠르게 확산되자 국민은행도 양국 고객 모두에게 더욱 편리한 결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양국간 QR 결제 연동 서비스 도입을 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신규 수익원 확보를 비롯해 해외 고객의 금융 데이터로 새로운 서비스 개발 기회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모바일 간편결제가 확산되며 동전·지폐는 물론 '지갑 없이' 생활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은행권은 QR 서비스, 디지털 화폐 등 다양한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하나은행은 채널 중 편의점에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사용 비중이 가장 높다는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를 기반으로 하나은행은 국내외에서 디지털 화폐 사업 가능성을 엿본다는 계획이다. 우리은행은 올 하반기 네이버페이와 제휴통장 출시 논의에 나설 예정이다. 네이버페이 선불충전금이 우리은행 제휴 계좌에서 자동충전돼 소비자들의 결제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