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정부의 내각 구성이 대부분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지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인선만 유독 지연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해 온 ‘문화강국’ 비전 실현을 위해서는 정책 이해도와 현장 감각, 리더십을 두루 갖춘 인사의 조속한 임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정부 조직 19개 부처 가운데 문화체육관광부와 국토교통부만 현재까지 장관 후보자가 정해지지 않았다.
문체부 장관 후보자 확정까지는 시일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서울 마포구 문화비축기지에서 열린 문화예술인 간담회에 참석해 "대한민국을 글로벌 빅5 문화강국으로 도약시키겠다"라는 비전을 밝히며, 이를 실행할 수 있는 적임자를 신중히 임명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문화강국의 꿈, 세계로 나아가는 대한민국’을 주제로 열린 이날 간담회에는 세계 무대에서 활약한 문화예술인들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김구 선생이 말씀하신 문화강국으로 들어가는 초입에 우리가 서 있는 것 같다”라면서 “(제가) 문체부 장관을 아직 못 뽑고 있다. 이걸(문화예술분야) 다 아우를 수 있는 사람이 해야 하는데… 여러분도 함께 고민해달라”고 말했다.
문체부 안팎에서는 전문성과 조직 이해도를 겸비한 인사의 조속한 임명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문체부 내부에서는 관료 출신 인사에 대한 선호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체부 노동조합은 최근 성명을 통해 “문화행정의 안정성과 연속성을 위해 장차관에 내부 관료 출신을 임명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노조가 함께 공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문체부 직원 1723명 중 70% 이상이 △부처 특성과 현안에 대한 깊은 이해 △조직 안정성 △리더십 역량 등의 이유를 들며 장차관 모두 내부 관료 출신을 선호한다는 답변을 내놨다.
한편 대통령실은 장관 후보자 인사 검증을 마친 뒤 신속히 인선을 마무리하겠다는 방침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국민 추천을 받고 이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다소 시간이 지연되고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린다”며 “인수위 없이 장관을 발표하다 보니 절차상 시간이 더 필요하다. 후보자에 대한 다양한 검증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