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락세 맞은 한국 車부품사… 중국은 성장 지속

  • 글로벌 100대 부품사 순위

  • 2022년 고점 이후 하락전환

  • 中, 자국시장 등에 업고 약진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의 던독 해양 터미널에서 운송을 기다리는 차량들 사진EPA·연합뉴스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의 던독 해양 터미널에서 운송을 기다리는 차량들. [사진=EPA·연합뉴스]
지난해 글로벌 100대 자동차부품 기업에 한국기업 10개사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중국에 추월당한 후 성장세가 꺾이고 있는 모습이다.

6일 오토모티브뉴스가 지난해 매출액을 기준으로 집계한 '글로벌 100대 부품사 순위'에 따르면 한국 기업은 총 10곳으로 일본(22곳), 미국(18곳), 독일(16곳), 중국(15곳)에 이어 5위를 기록했다.

이 순위는 글로벌 주요 부품사들의 완성차업체 대상 매출을 기준으로 하며 애프터서비스(A/S) 사업 매출 등은 제외된다.

국내 업체 중에서는 현대모비스(329억5200만 달러)가 4년 연속 6위에 오르며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현대트랜시스(94억2200만 달러)가 31위, 한온시스템(73억3100만 달러)이 39위로 나란히 30위대에 들었고 만도(40위·64억9400만 달러)와 현대위아(45위·58억6300만 달러)가 톱50에 진입했다.

이어 53위 SK온(45억4000만 달러), 65위 에스엘(35억3700만 달러), 79위 서연이화(29억6400만 달러), 82위 유라코퍼레이션(28억3700만 달러), 97위 현대케피코(18억9100만 달러) 순이었다.

최근 연도별 추이를 보면 글로벌 100대 기업에 진입한 한국 업체는 2018년 6개, 2019년 8개, 2020년 9개, 2021년 10개, 2022년 11개로 꾸준히 증가했지만, 2023년 10개로 줄었고 지난해는 현상 유지에 그쳤다. 2022년에는 중국(13개)에 추월당해 국가 순위가 4위에서 5위로 내려가기도 했다.

한국 업체들의 합산 매출액도 2022년 901억6000만 달러로 고점을 찍은 후 2023년 870억7400만 달러, 2024년 778억3100만 달러로 하락했다. 100대 기업 총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2년 9.7%, 2023년 8.9%, 2024년 8.2%로 하락했다.

반면 중국 부품업체들은 최근 수년간 자국 완성차업체들의 성장에 힘입어 약진하는 흐름이다. 중국의 100대 부품사 수는 2017년 6개에서 지난해 15개로 증가했고 매출액 비중은 같은 기간 3.3%에서 10.8%로 상승했다.

세계 최대 배터리 제조업체 CATL이 5위(352억4900만 달러)로 중국 기업 중에서 가장 높고 옌펑(17위·168억800만 달러), 조이슨 일렉트로닉스(37위·78억5300만 달러) 등 순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