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정치권에 따르면 안철수 혁신위원장은 7일 오전 비상대책위원회 의결을 통해 위원장과 현역 의원 2명, 원외 당협위원장 2명, 외부 인사 2명 등 총 7명의 혁신위원회 인선을 확정할 전망이다. 안 위원장은 9일을 시작으로 매주 수요일 자체 회의를 갖고 개혁 과제들을 논의한다는 구상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혁신위는 외부 인사가 주도하는 대선 백서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해 차기 전당대회 이전에 백서를 공개할 계획이다. 비상계엄 정국부터 친윤(친윤석열)계와 거리를 뒀던 안 위원장이 내정 직후 대대적인 변화를 예고한 만큼, 매주 자체 쇄신안을 띄우고 이를 즉각 추진할 수 있는 기동성 확보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김용태 전 비대위원장의 5대 개혁안에 유보 입장을 되풀이했던 현 지도부가 혁신위 차원에서 도출한 개혁 과제를 그대로 수용할지는 미지수다. 당대표가 전국 단위 선거 공천권을 갖는 권력 구조상, 8월 중 예상되는 차기 전당대회도 내년 지방선거를 겨냥한 암투 싸움이 전개될 여지가 상당하다는 분석이다.
정권 초기 잇따른 인사청문회와 거대 여당의 주도권 공세에 혁신위의 존재감이 가려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여당의 추가경정예산 강행 처리와 대통령실 특수활동비 복원, 정부 부처 조직개편 드라이브 등 뼈아픈 부분이 많지만 대응하기가 마땅치 않은 상황이다. 한 당 관계자는 "시간이 매우 부족하다. 인사청문회와 전당대회 일정이 본격화할수록 내부 목소리는 계속 작아질 것"이라며 "이목이 집중될 만한 혁신안을 준비해야 하는 안 위원장으로서는 큰 부담"이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