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한 은행 지점 앞에 게시된 담보대출 광고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5조원 넘게 증가하면서 은행권 가계대출이 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향후 주택거래량이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대출 증가세가 8월까지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전월 대비 6조2000억원 증가한 1161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8월(9조2000억원) 이후 10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이다.
주담대(923조1000억원) 증가폭은 지난해 9월(6조1000억원) 이후 최대치인 5조1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 몇 달간 늘어난 주택거래가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치면서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237조4000억원)은 1조1000억원 늘었다. 반기 말 부실채권 매·상각 영향에도 주식투자 및 생활자금 수요로 전월과 비슷한 규모로 증가했다.
박민철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택거래량이 올해 2~3월 증가했다가 4월 감소하고, 5~6월 큰 폭 증가했다"며 "이것이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7~8월에도 대출 증가세가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의 6·27 대책에 대해서는 "발표 후 2주밖에 안 지났기 때문에 아직 효과를 판단하기 이르다"면서도 "시장 전문가들은 상당히 강력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고 조치들이 의도대로 효과를 거둔다면 주택시장 과열이 진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은행권 기업대출은 한 달 전보다 3조6000억원 감소한 1343조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2조1000억원) 이후 3개월 만의 하락이다. 6월은 통상 반기 말 매·상각,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일시 상환으로 감소폭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는데 이번에는 예년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중소기업대출(1054조4000억원)이 은행권의 신용리스크 관리 지속, 반기 말 부실채권 매·상각으로 1000억원 증가했지만, 대기업대출(288조6000억원)이 3조7000억원 감소했다.
박 차장은 "지난달 일부 대기업이 자금조달 방식 다변화 차원에서 수출대금 외화매도를 통해 운전자금 조달한 것을 한도대출을 통해 조달했었다"며 "그것이 6월에 전부 상환되며 감소폭이 커졌다"고 부연했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전월 대비 6조2000억원 증가한 1161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8월(9조2000억원) 이후 10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이다.
주담대(923조1000억원) 증가폭은 지난해 9월(6조1000억원) 이후 최대치인 5조1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 몇 달간 늘어난 주택거래가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치면서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237조4000억원)은 1조1000억원 늘었다. 반기 말 부실채권 매·상각 영향에도 주식투자 및 생활자금 수요로 전월과 비슷한 규모로 증가했다.
금융당국의 6·27 대책에 대해서는 "발표 후 2주밖에 안 지났기 때문에 아직 효과를 판단하기 이르다"면서도 "시장 전문가들은 상당히 강력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고 조치들이 의도대로 효과를 거둔다면 주택시장 과열이 진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은행권 기업대출은 한 달 전보다 3조6000억원 감소한 1343조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2조1000억원) 이후 3개월 만의 하락이다. 6월은 통상 반기 말 매·상각,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일시 상환으로 감소폭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는데 이번에는 예년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중소기업대출(1054조4000억원)이 은행권의 신용리스크 관리 지속, 반기 말 부실채권 매·상각으로 1000억원 증가했지만, 대기업대출(288조6000억원)이 3조7000억원 감소했다.
박 차장은 "지난달 일부 대기업이 자금조달 방식 다변화 차원에서 수출대금 외화매도를 통해 운전자금 조달한 것을 한도대출을 통해 조달했었다"며 "그것이 6월에 전부 상환되며 감소폭이 커졌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