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으로부터 32%의 ‘폭탄 관세’를 통보받았던 대만이 한국과 일본보다 낮은 관세율을 목표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을 벌이고 있다는 대만 언론의 보도가 나왔다. 대만 정부는 이를 위해 미국 셰일가스 생산 자산을 인수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4일 연합보와 중국시보 등 대만 언론은 대만 당국이 트럼프 행정부가 대만에 부과하기로 한 32% 관세를 한국과 일본이 통보받은 25%보다 낮은 20%나 15% 이하로 낮추기 위해 미국 측과 협상 중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소식통들은 현재 미국과 대만 양측이 세부 사항을 지속적으로 교섭하고 있다면서, 미국 정부로부터 조만간 관세 서한을 받더라도 협상이 난관에 봉착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전했다. 이어 양측이 상호 간의 의견 교환을 통한 조정의 여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대만 언론들은 국영 석유기업인 대만중유공사(CPC)가 지난 3월 미국 알래스카 가스라인 개발공사(AGDC)와 액화천연가스(LNG) 구매·투자의향서를 체결한 데 이어 미국 셰일가스 생산 자산의 매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CPC는 이를 부인하지 않은 가운데, LNG 개발과 같은 고위험성 투자로 인한 재정 악화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CPC는 지난해까지 5년 연속 적자를 지속했으며 누적 손실액은 691억 대만달러(약 3조2000억원)에 이른다고 대만 언론들은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