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돈 되는 자원 됐다"…금호석유화학, CO₂ 포집 설비 가동

  • 드라이아이스·식음료용 탄산 등 산업용으로 자원화

CCUS 준공식 행사 참석자들이 테이프커팅식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금호석유화학
CCUS 준공식 행사 참석자들이 테이프커팅식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금호석유화학]


금호석유화학이 이산화탄소를 비용이 아닌 새로운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했다. 연간 약 7만6000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는 CCUS(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 설비를 준공하고 본격 가동에 나선다.

금호석유화학(대표 백종훈)은 16일 여수제2에너지 내 CCUS 설비 준공식을 열고, 발전설비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포집하는 공정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이번 설비는 2023년 12월 착공 이후 약 19개월 만에 완공됐다.

이번 설비를 통해 하루 최대 220톤, 연간 7만6000톤 규모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으며, 금호석유화학은 직접 투자로 공정 기술까지 확보했다. 향후 포집된 이산화탄소는 협력사인 K&H특수가스의 정제 과정을 거쳐 드라이아이스, 식음료용 탄산, 용접·절단용 산업가스, 농업용 원예, 폐수처리 등 다양한 산업에 재활용될 예정이다.

이날 행사에는 백종훈 금호석유화학 대표이사를 비롯해 장갑종 K&H특수가스 대표, 강재화 현대중공업파워시스템 사업대표, 정기명 여수시장, 구충곤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장, 김영우 영산강유역환경청장 등이 참석해 경과보고와 탄소중립 실천 협약서 교환을 진행했다. 이후 참석자들은 테이프 커팅과 설비 라운딩으로 일정을 마무리했다.

금호석유화학은 배출권거래제 할당 대상 업체로서, 이번 CCUS 설비 가동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따른 경제적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단순 감축을 넘어 이산화탄소를 유용 물질로 전환하는 구조로의 진입 가능성을 타진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백종훈 금호석유화학 대표는 "이번 CCUS 설비는 이산화탄소를 비용이 아닌 자원으로 활용하는 상징적인 사례가 될 것"이라며 "친환경 기술을 통한 기업 가치 제고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