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실이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 발생과 관련해 "이재명 정부는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특별교부세 지급을 신속히 검토하는 등 중앙 정부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어 "최근 발생한 기록적인 폭우로 수십 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기후 변화로 극한호우가 일상이 된 만큼 재난 대응 체계의 신속한 정비와 변화가 시급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이에 발맞춰 지방자치단체도 수해 복구와 예방에 총력을 다해 주시길 당부드린다"며 "국지성 호우가 폭우가 일반화된 만큼 지역 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강 대변인은 집중호우 당시 세종시에서 발생한 급류 실종 사고가 뒤늦게 인지된 것에 대해 "만일 심각한 공직 기강 해이나 잘못이 발견된다면 엄하게 책임을 묻고 철저한 재발 방지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이 철저한 대응을 주문했음에도 세종시의 경우는 급류 실종 시민을 무려 23시간 동안 경찰과 소방 당국, 지자체 재난 지휘부가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며 "경찰이 소방본부 사고 상황을 전파했음에도 세종시의 재난 컨트롤타워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사고 자체를 한참 늦게 인지했고 제대로 보고하지도 않았다"고 지적했다.
강 대변인은 "재난은 정쟁의 대상이 아니다. 여야정이 함께 재난 극복에 총력을 다해야 한다"며 "공직자의 가장 중요한 책무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임을 행동으로 증명하겠다"고 덧붙였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전날 오후 9시 기준 전국적 극한호우로 사망자 18명, 실종자 9명이 발생했다. 대피한 주민은 15개 시도에서 9887세대, 1만4166명으로 파악됐다. 전날 오후 6시 기준 도로 침수와 토사 유실, 하천 시설 붕괴 등 공공시설 피해는 1999건, 건축물·농경지 침수 등 사유 시설 피해는 2238건으로 집계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