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특급칭찬' 받은 권대영 영전…尹정부 정책대출 책임 논란도

  • 권대영 20일 금융위 부위원장 임명…실무 중심 전문성 높이 평가

  • 소상공인 금융 총괄 역할 계속할 듯…7~8월 현장 간담회 진행도

  • 금융당국 조직개편 발표 임박…권대영 영전으로 기류 변화 가능성

  • 부처·지자체 소통 부재 따른 가계대출 급증 문제 대해서는 책임론

사진금융위원회
[사진=금융위원회]

'수도권 주택대출 6억원 제한'으로 이재명 대통령의 '특급 칭찬'을 받은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이 금융위 부위원장으로 전격 발탁됐다. 권 부위원장은 대통령실이 직접 지시한 '소상공인 금융 애로 해소' 과제를 주도해온 만큼 부위원장 취임 이후에도 관련 정책을 총괄할 것으로 예상된다.

21일 대통령실과 금융권에 따르면 권 부위원장은 코로나19 위기 속에 새출발기금과 안심전환대출 등 실효성 높은 민생금융 정책을 설계하고 집행한 금융 전문가라는 점을 높이 평가받아 신임 금융위 부위원장으로 임명됐다. 실무 중심의 위기 대응에 기민하게 대처하며 △소상공인 채무조정 △저금리 대환 프로그램 △고금리 정책자금 재조정 등 민생금융 중심 정책을 이끌었다.

권 부위원장은 앞으로도 소상공인 관련 금융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고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취임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민생 회복을 바탕으로 성장동력을 찾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며 "금융 원칙을 지키면서도 사회적 약자가 재기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고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이 일환으로 7~8월 중 소상공인 현장 간담회를 10여 차례 진행할 예정이다. 간담회는 정책 설명보다 현장 목소리를 듣는 소통을 위한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음 달 7일까지 홈페이지에 '소상공인 금융 사서함' 코너를 운영하며 의견을 추가로 수렴하기로 했다.

권 부위원장이 임명되면서 현재 논의 중인 금융당국 조직 개편안 향방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정책 기능과 감독 기능을 분리하는 조직 개편을 시사해왔는데 최근 들어 내부 기류가 달라졌다는 분석이다. 조직 개편 발표가 임박한 시점에 권 부위원장 인사 발표가 나고 김병환 금융위원장 유임설까지 힘을 받으면서 금융위가 해체 대신 기존 역할과 기능을 유지하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다만 금융위가 해체되는 수순으로 간다면 지난 정부에서 임명된 김 위원장 역할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만큼 뒷수습을 위해 부위원장 인사를 먼저 단행했을 가능성도 있다. 김소영 전 금융위 부위원장 임기가 만료된 이후 후속 인사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당시 권 사무처장이 부위원장 직무까지 대행해 왔다.

일각에선 권 부위원장이 새 정부 들어 고안한 6·27 대책이 즉각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긴 하지만 윤석열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실패 책임에서는 자유롭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국토교통부·서울시와 소통 부재로 정책대출 상승세를 잡지 못했고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가계대출이 급증했다는 이유에서다. 지난달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증가액은 지난해 10월 이후,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지난해 9월 이후 최대 폭을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