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첫날…금융·전자결제株 '지지부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첫날, 관련 수혜주로 꼽히던 금융지주·전자결제주가 약세에 그쳤다. 소비쿠폰으로 인한 실적 개선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란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오히려 내수 소비재의 장기적 상승이 기대된다는 분석도 나왔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B금융은 전 거래일 대비 1.23% 오른 11만4800원에 마감했다. 우리금융지주는 0.40% 오른 2만4950원을 기록했다. 한편 신한지주는 전 거래일 대비 0.15% 내린 6만8800원에 마감했다. 

전자결제 관련 종목의 흐름도 잠잠했다. 간편결제 방식으로 쿠폰 사용이 가능한 카카오페이는 이날 3.40% 하락한 5만69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네이버는 0.62% 내린 24만500원에 장을 마감했다. 통상 정책 수혜 기대감이 주가에 선반영되는 경향이 있지만 이번엔 주요 관련주 전반에 걸쳐 반응이 제한적이었다.

관련주의 등락이 제한적인 것은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기 때문이라는 게 시장의 중론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금융지주 주가가 횡보하는 건 소비쿠폰보다는 단기 조정 흐름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이달 초 급등한 영향으로 차익 실현 구간에 진입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소비쿠폰은 어디까지나 고객 유치 목적의 마케팅 성격이 강해 실적이나 펀더멘털에 영향을 줄 수준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오히려 이번 정책의 실질적인 수혜를 입을 업종으로는 '내수 소비재'를 꼽는다. 소비쿠폰은 한 명당 최대 55만원까지 지급되지만 실사용 과정에서 이를 초과한 지출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결국 소비는 금융회사가 아닌 유통이나 식음료, 화장품 등 최종 소비재 영역으로 흘러가게 된다"며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파급력을 따질 땐 금융주보다 내수주를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강조했다.

소비쿠폰 정책이 카드사 등 지급 채널에는 일시적 수요 증가를 유발할 수는 있어도 주가에 지속적 영향을 줄 동력은 부족하다는 평가다. 금투업계 관계자는 "첫날 수치만으로 수혜주를 판단하기엔 시기상조"라며 "소비쿠폰이 자극하는 소비심리가 중장기적으로 내수 경기와 연결될 가능성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