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참전 호국영웅 디지털 명비' 제막식, 23일 연세대서 개최

  • 6·25전쟁 당시 국내 소재 37개 대학 중 첫 명비 제막

  • 디지털 명비 통해 연대 출신 호국영웅 1363명 기려

 
연세대 6·25참전 호국영웅 디지털 명비 화면 모습 사진국가보훈부
연세대 6·25참전 호국영웅 디지털 명비 화면 모습 [사진=국가보훈부]
 
국내 대학교에 해당 대학교 출신 6·25참전 호국영웅 명비 건립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연세대에서 처음으로 명비가 제막된다.
 
국가보훈부는 오는 23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연세·삼성학술정보관 1층에서 강정애 장관과 윤동섭 연세대학교 총장, 이성헌 서대문구청장, 6·25참전유공자, 연세대 학군단·재학생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6·25참전 호국영웅 명비’ 제막식을 개최한다.
 
특히, 이번에 제막하는 호국영웅 명비는 6·25전쟁 당시 국내에 소재한 37개 대학 중 처음 건립된 명비이자, 연세대 출신 6·25참전 호국영웅의 이름을 화면 속 기둥에 빛으로 각인해 표출하는 디지털 명비다.
 
디지털 명비에는 건립취지문과 함께 6·25전쟁 당시 흥남부두 철수작전으로 10만여명의 피난을 도운 현봉학 박사 등 연세대 출신 호국영웅 1363명의 이름이 가나다 순으로 표출된다.
 
또한, 호국영웅의 군별, 계급, 입대·전역 일자, 연세대 입학 일자 등은 명비 외부에 각인된 정보검색(QR) 코드로 확인할 수 있다.
 
제막식은 보훈부 장관의 기념사, 연세대 총장의 인사 말씀, 주요 내빈 감사 말씀, 6·25참전유공자 감사 꽃다발 증정, 재학생 감사 편지 낭독, 성악과 중창단의 축하공연, 제막 순으로 진행된다.
 
강정애 보훈부 장관은 “6·25전쟁 당시 소재한 대학 중 처음으로 ‘호국영웅 명비’를 제막하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면서 “이번 명비가 연세대 후배 학생들이 선배들의 숭고한 호국정신을 기억·계승하고, 일상에서 보훈의 가치와 의미를 느끼고 실천하는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윤동섭 연세대 총장은 “국가를 위해 헌신하신 참전유공자 한 분 한 분의 숭고한 이름이 첨단 기술을 통해 교육과 연구의 전당인 이 캠퍼스 안에서 학생들과 함께 살아 숨 쉬게 됐다”며 “학문의 길을 걷는 후배들에게 선배 학도들의 영예로운 희생을 기억하고, 자유와 평화의 가치를 일깨우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보훈부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보훈부는 2016년부터 학교, 지자체 등과의 협조를 통해 6·25참전유공자 명비 건립을 추진, 현재까지 90개소 건립을 완료했으며, 올해는 조선대, 여수고, 부석초(서산), 장유중(김해), 대구 남구 등과 함께 명비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