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KAIA)는 24일 '생산경쟁력 제고를 통한 미래차 전환 촉진 방안'을 주제로 제43회 자동차모빌리티산업발전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
강남훈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 회장은 "지금 우리 자동차 산업은 대내외적으로 사상 최대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전체 수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 시장에서 고율 관세가 부과되면서 올해 상반기 대미 수출은 16.5% 감소했고, 전기차 수출은 무려 88% 급감했다"고 토로했다.
이어 "유럽은 핵심원자재법과 탄소국경조정세(CBAM) 도입 등으로 보호무역을 강화하고 있으며, 중국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60% 이상을 점유하며 우리 산업을 빠르게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0년대 초 세계 5위 자동차 생산국이던 한국은 최근 멕시코·인도 등 신흥국의 약진으로 지난해 기준 세계 7위로 하락한 상황이다. 지난해 국내 완성차 생산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413만대, 해외는 365만대로 국내 생산비중은 53.1%다. 최근 미국의 현지 생산 증가로 국내생산 감소와 공동화까지 우려되고 있다.
또 국내 산업 내부에서는 완성차와 부품업계 간 규모 격차에 따른 양극화, 수도권 중심의 인재 집중과 해외 인력 유출, 자율주행 기술 경쟁력 저하, 소프트웨어 중심 부품 전환의 부진 등을 심각한 문제로 꼽았다.
정만기 한국산업연합포럼 회장은 "자동차 산업은 포디즘(대량생산·가격 경쟁력)에서 도요타이즘(유연생산, 차별화·다양화)을 거쳐 테슬라 시대에는 전기동력차 및 자율주행차를 중심으로 연구개발 역량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며 "한국의 경우 전동화 기술은 뛰어나지만 자율주행 기술 부진에 대한 대응이 시급한 상태이며, 공급망 관점에서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 심화가 주요 리스크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정 회장은 이를 타개하기 위한 제안으로 △노동 환경 유연화 △소프트웨어 중심 연구개발(R&D) 체질 전환 △글로벌 전략 거점 현지화 △자율주행차 실증·상용화 규제 혁신 △민간주도 시장 활성화 등을 제시했다.
송준영 현대모비스 팀장은 "현대모비스는 AX(인공지능 전환) 전략의 도입을 통해 궁극적으로 R&D 비용을 50% 이상 절감하는 동시에 멀티모달 AI를 활용해 R&D 역량을 획기적으로 혁신해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지만 연세대 교수는 "지금과 같은 미래차 전환 시기에는 전통적인 내연기관 부품을 생산하는 부품기업의 사업 구조 재편과 근로자의 직무 전환을 위한 재숙련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노사 간 협력이 무엇보다 절실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