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펌 핫스폿] 지배구조 자문 최전선 …지평 전문 센터 신설

  • 상법 개정 대응...'경영권 분쟁·주주관여 대응센터' 확대 개편

  • 공동 센터장 체제로 정관 개정부터 분쟁까지 원스톱 자문

앞줄 좌측부터 반시계 방향 지평 한은지 이태현 변호사공동 센터장 이행규 대표변호사센터 총괄 배기완 변호사공동 센터장 권준희 조동욱 변호사 장영은 수석전문위원 채남기 고문 장기석 신민 고효정 김진하 변호사 사진법무법인 지평
(앞줄 왼쪽부터) 지평 '경영권분쟁·주주관여 대응센터'의 한은지, 이태현 변호사(공동 센터장), 이행규 대표변호사(센터 총괄), 배기완 변호사(공동 센터장), 권준희 변호사. (뒷줄 오른쪽부터)조동욱 변호사, 장영은 수석전문위원, 채남기 고문, 장기석, 신민, 고효정, 김진하 변호사 [사진=법무법인 지평]
법무법인(유) 지평이 자본시장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경영권분쟁·주주관여 대응센터'를 신설했다. 기존의 경영권 분쟁 대응 역량에 더해 행동주의 주주의 주주제안, 전자주주총회, 내부통제 시스템 개편까지 포괄하는 자문 조직으로 확대 개편됐다. 

최근 개정된 상법은 소수주주권 강화와 이사의 책임 확대를 핵심으로 하고 있어 기업의 정관, 이사회 규정, 주총 운영 방식 등 전반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지평은 이같은 제도 변화에 따른 법률 리스크에 정밀 대응하며, 실무 컨설팅을 병행하는 원스톱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센터는 지난 6월 25일 정식 출범했으며, 이행규 대표변호사가 총괄을 맡고 있다. 공동 센터장은 이태현(36기)·배기완(37기) 변호사가 맡았다. 이 변호사는 M&A·Corporate 그룹장으로서 이사회 및 주주총회 운영 전략과 지배구조 개편, 기업결합, 지주회사 전환 등 자문 경험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배 변호사는 기업금융소송그룹 부그룹장이며, 한미사이언스 경영권 분쟁 등 주요 사건을 성공적으로 수행해왔다. 특히 두 사람은 협업을 통해 상장사의 소수주주권 행사 대응 자문을 여러 건 처리한 경험이 있다.

센터는 업무 영역별로 6개 분야 세부팀으로 구성돼 있다. △지배구조·이사회·주총 대응 △경영권분쟁·주주관여 대응 △사모펀드 △자본시장·한국거래소 대응 △금융감독원 대응 △형사 분야로 나뉘며, 각 분야 전문가들이 실무를 담당한다. 내부 구성원만 해도 신민, 고효정, 김강산, 권준희, 김명철, 김미정, 박순철, 장기석, 한은지 등 각 분야에서 활약 중인 인물들로 탄탄하다.

최근엔 외국 투자회사를 대리해 개정 상법이 한국 대기업 지배구조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배당 강화 및 집중투표제 도입과 관련한 시나리오 자문을 수행했다. 주주제안 대응과 관련한 정관 개정, 감사위원 분리 선출 규정 해석, 자사주 처리 관련 구조 설계 등도 주요 자문 사례다. 또 사모펀드와 관련된 투자 소송 및 상장사 물적분할에 따른 소수주주 보호 문제도 팀이 다루는 핵심 쟁점 중 하나다.

센터가 주목하는 법적 이슈로는 소액주주 및 행동주의 펀드의 권리 행사가 꼽힌다. 전자주주총회 보편화에 따라 주총 운영의 절차적 완결성과 보안 문제가 부상하고 있다. 이에 지평은 전자 시스템 설계와 병행한 실무형 자문을 강화하고 있으며, 기업 내부 통제 시스템의 재정비, 이사 및 감사의 책임보험 가입 검토, 회의록 문서화 등 실질적 조치까지 포함한 대응책을 준비 중이다.

지평은 센터 출범을 계기로 정관 설계부터 분쟁 대응까지 유기적으로 연결된 서비스를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상법 개정이 일회성 규제 변화에 그치지 않고, 기업 투명성과 이사회 책임성 강화를 통해 체질 개선과 밸류업을 이끌어야 한다는 판단이다. 센터는 향후 규제당국이 제공하는 해석 지침이나 가이드라인 마련에도 주목하고 있다. 기업 맞춤형 대응뿐 아니라 법제도의 안정적 안착을 위한 제안 기능도 병행한다. 

지평 관계자는 "경영권분쟁·주주관여 대응센터는 상법 개정으로 예상되는 기업의 리스크를 효율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종합 플랫폼"이라며 "앞으로 기업의 특성과 상황에 맞는 맞춤형 자문을 통해 안정적인 지배구조 운영과 기업가치 제고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