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천시 삼정동에 건설 중인 서울과 인접한 하이퍼스케일(서버 10만 대 이상 규모)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DC)가 전력 공급 방안을 둘러싼 난관에 부딪혔다. 하천 인근에 송전선을 매립할 계획이었지만 환경부에서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 전력 공급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4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한강유역환경청은 부천시 삼정동 AI DC로 연결될 송전선 매립 허가 여부를 놓고 "수도권 하천에서 대규모 매립 공사 사례가 드물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기 어렵다"며 부정적 입장을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이 관계자는 “지방에서는 하천에 송전선을 매립한 사례가 있지만 수도권에서는 아직 없었다”며 “아직 사례가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알 수 없어 허가 검토에 신중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수도권 내 지상 송전선 설치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에서, 삼정동 DC는 인근 굴포천에 송전선을 매립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인천 부평구 갈산동 신부평변전소에서 부천 삼정동까지 약 3km 구간에 송전선을 매립할 계획이었다.
이 계획이 실현되면 삼정동 DC뿐 아니라 지상 송전선 설치가 어려운 수도권 내 다른 DC의 전력 공급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다.
하천은 국가 소유로, 사업자가 별도의 토지 매입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지상 송전선 설치로 인한 주민 반발도 크게 줄일 수 있다. 사업자는 정부에 하천 사용료를 지불하며, 한강유역환경청 등 관리 기관은 이를 하천 인근 정비 등 환경 개선에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건설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한 DC 건설 시행사는 “지상 송전선 설치가 어렵다는 이유로 매립 방안을 검토하는 사업자가 많다”며 “특히 국가 하천을 활용한 송전선 매립은 DC 건립 사업에 매우 유용한 대안”이라고 밝혔다.
송전선 문제로 DC 건설이 지연된 곳은 삼정동뿐만이 아니다. 서울 구로구, 고양시 문봉동, 식사동 등 DC 부지에서도 송전선 허가 지연으로 건설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
다른 건설업계 관계자는 “송전선 허가가 없으면 DC를 완공해도 운영할 수 없다”며 “2030년까지 국내에 600개의 DC를 건설해야 하지만, 전력 공급 문제로 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다”고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