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규제 풍선효과 없었다...노도강·금관구 하락거래 줄이어

그래픽아주경제
[그래픽=아주경제]


6·27 규제 후 ‘풍선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관측됐던 노도강(노원·도봉·강북), 금관구(금천·관악·구로) 등 서울 외곽 지역에서 거래량 감소와 함께 하락거래 사례도 잇따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닜다. 

5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노원구 상계동 상계주공9단지 전용 66㎡는 지난달 22일 5억2000만원에 거래됐다. 대출규제 직전거래가인 6억3000만원에서 3개월만에 1억1000만원이 하락한 것이다.

강서구 등촌동 등촌아이파크 전용면적 134㎡는 지난달 15일 8억 1000만원에 거래됐다. 해당 면적대는 6월까지만 해도 12억~13억원대에 거래되던 것에 비해 4억원 넘게 하락한 거래가 나온 것이다.

대출 규제 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가 둔화한 가운데 풍선효과가 예상되던 외곽지역도 예외는 아니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4주차(28일 기준) 노원구 아파트값은 전주(0.09%) 대비 0.05%로 오름폭이 둔화했다. 같은 기간 금천구(0.05%→0.04%), 관악구(0.13%→0.10%), 구로구(0.11%→0.08%)도 상승폭이 일제히 축소됐다. 다만 강북구(0.03%)는 전주 상승률을 유지했고, 도봉구(0.02%→0.04%)의 경우 이례적으로 상승세가 확대됐다.

6·27 대책 후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고가·대형평형 거래부터 위축됐다. 성북구 하월곡동 동일하이빌뉴시티 178㎡은 지난달 30일 10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대출 규제 전인 6월 18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경신한 지 불과 한 달만이다. 6월까지만 해도 16억원 중반대에서 시세가 형성됐던 이 단지는 대출 규제 후 거래가 반토막났고, 직전 거래가보다 6억여원 하락한 거래가 나왔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대책 발표 전(6월 10일~27일)과 이후(6월 28일~7월 15일) 거래를 분석한 결과 노원구 아파트 중위가격은 5억9500만원에서 5억1900만원으로 낮아졌고, 금천구는 5억8250만원에서 5억4500만원으로 조정됐다. 구로구는 7억1900만원에서 6억5000만원으로 하락했다. 

디딤돌 대출 등 정책대출 한도도 줄면서 중저가 아파트도 타격을 받은 모습이다. 노원구 상계주공3단지 전용 58㎡는 지난달 19일 7억원에 매매거래가 이뤄졌다. 6월에는 7억1500만원까지 올랐지만 대책 발표 후 1500만원 내려앉았다. 도봉구 창동 북한산아이파크 전용 84㎡는 6월 9억5500만원까지 올라왔지만 지난달 9일 다시 9억2200만원으로 하락했다.

도봉구 창동의 한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6·27 대책 이후 신혼부부나 사회초년생 등 중저가 아파트 실수요 문의가 줄이어 급매 먼저 소진된 이후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특히 전세 매물 대출이 조금만 줄어도 타격이 커서 거래가 크게 줄었다"고 말했다.

거래량도 덩달아 급감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7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2691건으로, 6월(1만 1885건) 대비 5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특히 구로구는 발표 전 한 달 간 853건에 달했던 매매 거래량은 발표 이후 175건으로 줄며 80% 가까이 감소했다. 노원구(-69%), 금천구(-64.3%), 강북구(-56.4%) 등도 대책 발표 전과 비교해 거래량이 절반 이상 줄었다.

남혁우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 부동산연구원은 "6.27대책의 풍선 효과로 외곽지역의 속도감 있는 갭 메우기 현상은 생각보다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며 "비성수기와 계약갱신청구권 사용으로 인해 임차수요가 감소한 점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향후 이사철 성수기와 전세가격 상승이 맞물리는 시점에 이 같은 갭 메우기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