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저소득층 임금 상승 둔화…"27주 이상 실직 상태 180만명 넘어"

  • 7월 美비농업 일자리 전월 대비 7만3000명 증가…전문가 전망 밑돌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펜실베이니아주 앨런타운의 리하이 밸리 국제공항에서 대통령 전용기에 탑승하기 전에 기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펜실베이니아주 앨런타운의 리하이 밸리 국제공항에서 대통령 전용기에 탑승하기 전에 기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AP·연합뉴스]

미국 저소득층이 고소득층보다 더 가파른 임금 상승 둔화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자료를 인용해 주당 806달러(약 111만원) 미만을 받는 미국 하위 25% 노동자의 임금 상승률이 지난 6월 기준 연 3.7%로 둔화됐다고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인력난이 심각했던 2022년 말 7.5%에서 크게 떨어진 것이다.
 
반면 주당 1887달러(약 261만원) 이상 받는 상위 25% 노동자의 임금은 같은 기간 4.7% 상승해 둔화 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노동자의 평균 임금 상승률은 4.3%로 조사됐다.
 
이번 통계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일 노동부 고용보고서가 발표된 직후 노동통계국장을 해임한 뒤 나왔다.
 
노동부는 고용보고서를 통해 7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7만3000명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문가 전망인 10만명을 크게 밑도는 수치였다. 5~6월 일자리 증가 폭도 종전 발표 대비 총 25만8000명 하향 조정됐다.
 
또 27주 이상 실직 상태인 사람의 수가 180만명을 넘어섰다. 코로나 대유행 시기를 제외하면 2017년 이후 최고 수준이라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했다. 이는 전체 실업자의 4분의1에 해당하며 1년 전(약 20%)보다 그 비중이 높아졌다.
 
WSJ는 이런 구직난은 관세 불확실성과 기업의 신중함으로 인해 흔들리는 노동시장의 흐름을 보여준다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노동부의 해당 통계가 나온 직후 에리카 맥엔타퍼 노동통계국장을 전격 경질했다. 이에 대해 경제학계는 통계기관의 독립성과 신뢰성을 훼손하는 전례 없는 조치라고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폭스뉴스에 “데이터는 선전물이 될 수 없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을 엄호했다.
 
반면 트럼프 1기 때 노동통계국장을 지낸 윌리엄 비치는 미 CNN에 “이번 해임은 통계 시스템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조치”라고 우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