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에 문경, 경주 추가 지정

  • 경주, 아시아 최고의 관광산업 인재 양성 체계 구축

  • 문경, 특산물 활용한 오미마을학교와 조리학교 운영

경북도청 청사 전경 사진경상북도
경북도청 청사 전경. [사진=경상북도]
 
경북도는 교육부 주관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에 경주시와 문경시가 추가 지정됐다고 8일 밝혔다.
 
이로써 경북 내 특구는 지난해 1차 지정 8개, 2차 지정 5개 시군과 함께 총 15개 지자체로 확대됐다.
 
‘교육발전특구’는 교육의 힘으로 지방 도시를 살리기 위해 지자체, 교육청, 대학, 기업 등이 협력해, 지역 발전 차원에서 공교육 혁신과 지역 인재 양성, 정주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특히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추가 지정된 시군은 교육부에서 매년 30억원 등 총 120억원의 재정 지원과 함께 학교복합시설사업, 협약형 특성화고 등 교육부 공모 사업 선정 시 가점과 각종 교육 관련 특례를 지원 받아 지역 특성에 맞는 공교육 혁신을 추진할 수 있다.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은 선도지역과 관리지역으로 나눠지며, 선도지역은 3년 간 시범 운영하고, 관리지역은 1년 단위로 평가를 통해 보다 강화된 성과 관리의 지원을 받게 된다.
 
경주시는 선도지역으로 지정되면서, ‘지산학 연합형 인재 양성 체계 구축’을 주력 목표로 삼는다. 경주는 세계적인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 관광 자원이 풍부해 관광산업은 물론, 자동차 소재부품, 원자력에너지 산업 등 다양한 분야의 인재 양성이 가능하다.
 
특히 ‘아시아 최고 수준의 관광산업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집중할 계획이다. 이는 관광산업의 경쟁력 강화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관리지역으로 지정된 문경시는 특화 자원을 연계한 ‘오미마을학교’와 ‘문경미래교육특구사업’운영을 통해 지역 특색을 살린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특히 ‘지역특산물을 활용한 조리학교’ 운영을 통해, 학생들에게 건강한 먹거리 문화를 교육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도 함께 꾀한다.
 
임시영 경북도 교육청소년과장은 “교육발전특구 지정은 경북 교육혁신의 기반이다. 앞으로도 지역에서 배우고, 정주하는 경북 특화형 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모든 행정적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