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오는 15일(현지시간) 알래스카에서 만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8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 대통령인 저와 러시아 대통령 푸틴의 회담이 다음 주 금요일인 2025년 8월 15일 위대한 알래스카주에서 열릴 것"이라며 "상세한 내용은 추가로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 관영매체 타스도 이날 크렘린궁이 트럼프, 푸틴 대통령의 15일 알래스카 회동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이로써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첫 번째 미·러 정상회담이 트럼프 대통령의 '홈그라운드'에서 열릴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백악관에 복귀한 이후 푸틴 대통령과 6차례 통화했지만 실제 만남이 성사된 적은 없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 2015년 유엔 총회 참석을 계기로 방미해 버락 오바마 당시 미국 대통령과 만난 이후 10여 년 만에 미국 땅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번 정상회담은 트럼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중재외교의 일환인 만큼 개전 4년째인 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전 가능성에 눈길이 쏠린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평화 합의 서명식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중재 상황에 대해 "난 우리가 매우 가까워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난 매우 곧 푸틴 대통령을 만날 것"이라고 말했다.
휴전 성사 가능성에 대해서는 "내 본능은 우리가 (휴전을 합의할) 가능성이 있다고 정말로 말하고 있다"면서 "매우 곧 일어날 수도 있다"고 자신감을 표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가 휴전 조건으로 러시아에 영토를 양보할 것으로 예상하냐는 질문에는 "매우 복잡하다. 하지만 우리는 일부(영토)를 돌려받을 것이다. 일부는 교환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이와 관련해 블룸버그통신은 미국과 러시아의 협상가들이 러시아가 침공해 점령한 우크라이나 영토 일부를 계속 소유하게 하는 방안을 논의해 왔다고 전했다.
앞서 미국은 러시아가 강제병합한 크름반도를 러시아 영토로 인정하고, 현재 점령한 우크라이나 영토 일부를 러시아에 넘기는 방안을 제시한 적이 있다. 대신 자포리자와 헤르손 지역의 통제권은 우크라이나에 반환할 것을 주장했다.
다만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어떤 영토도 내줄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도 함께하는 3자 회담은 언급하지 않았다. 이에 러시아와 종전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우크라이나의 입장이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