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플러스는 13일 전사적인 긴급 생존경영 체제에 돌입했다고 발표했다.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개시 이후 5개월이 지났지만, 경영 환경이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점차 자금 압박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는 이날 전 임직원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지금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인가 전 M&A를 통한 회생 자체가 위태로워질 수 있는 절체절명의 위기에 놓여 있다"며 "더 이상 미룰 수 없어 최후의 생존경영에 돌입하게 됐다"고 전했다.
홈플러스는 인가 전 인수합병(M&A)이 성사되기 전까지 자금 압박을 완화할 자구책을 시행할 계획이다. 자구책에는 임대료 조정 협상에 진전이 없는 15개 점포 순차적 폐점, 본사 임직원 무급휴직 시행 등이 담겼다. 지난 3월부터 이뤄지고 있는 임원 급여 일부 반납도 회생 성공 때까지 이어갈 방침이다.
홈플러스 정부 차원의 지원도 요구하고 있다. 회사 측은 "이번 위기는 단순한 유통기업 경영 이슈가 아닌 민생경제와 고용안정에 직결되는 문제"라며 정부의 정책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지난달 30일 홈플러스 조기 정상화와 인가 전 M&A 성사를 바라는 임직원과 협력사 직원 2만2000여명이 대통령에게 관련 호소문을 전달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