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벤처투자 시장 규모를 확대하고 스타트업을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한국형 증거개시 제도 도입으로 피해기업의 소송부담을 줄인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13일 국정기획위원회에 따르면 중소기업·소상공인 관련 정책은 5개년 계획 중 '경제발전 전략'에 담겼다.
국정위는 벤처투자시장과 스타트업을 집중 육성해 경제활력을 제고하고, 중소기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성장사다리를 구축한다는 방침을 전했다. 벤처투자 연간 40조원을 달성하겠다는 게 목표다.
업종별 투자실적을 보면 바이오·의료 분야 투자가 1240억원 증가해 가장 큰 폭으로 늘었고, 게임 분야의 전년동기 대비 투자 증가율이 100%로 가장 높았다.
벤처펀드 결성 규모는 6조2000억원으로 19.4% 증가했다.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이다. 출자자 유형별로 보면 정책금융은 8%, 민간 부문은 22% 증가했다.
국정기획위는 국민성장펀드 100조원 조성 등을 통해 미래전략산업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벤처·중소기업이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금융생태계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벤처투자가 늘고 민간자금 출자 펀드 결성이 많이 증가한 것은 매우 긍정적인 신호"라며 "유망한 기업이 벤처투자를 통해 성장하고 세계 시장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밖에 서민·소상공인 채무조정 및 금융문턱 완화로 경제적 재기 기회를 제공하고, 경영·금융 부담 완화, 지역상권 활성화로 민생경제 활력을 제고한다.
공정과 상생의 플랫폼 생태계를 구축하고, 경제적 약자의 협상력 강화 및 대기업집단의 사익편취 근절 등을 통해 공정한 시장질서를 확립한다. 한국형 증거개시 제도 도입으로 중소기업 소송 입증부담을 완화하고, 기술탈취 행위 제재강화 및 전담지원체계를 마련한다.
민사적 불공정행위 억제수단 강화 및 소비자 단체소송 활성화, 분쟁조정제도 선진화 등으로 중소기업·소비자 피해구제의 실효성을 제고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