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디스플레이가 중국 BOE를 상대로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 제기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영업비밀 침해 소송'에서 사실상 승소했다. 이번 판결로 BOE OLED 패널이 미국으로 직접 수출되는 건 봉쇄될 전망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ITC는 지난달 11일 예비판결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보안 조치가 탁월한 수준이었음에도 BOE가 삼성디스플레이 영업비밀을 부정한 수단으로 취득해 사용했다"며 "삼성디스플레이에 실질적 피해와 심각한 위협을 초래했다"고 판단했다.
특히 ITC는 BOE의 OLED 패널이 14년 8개월 동안 미국에 수입될 수 없다는 '제한적 수입금지 명령'(LEO)을 내렸다. 또 ITC는 중국의 BOE 본사, 미국 현지 법인 등의 미국 내 마케팅·판매·광고·재고 판매 등을 모두 금지해 BOE가 미국에서 전반적인 영업활동을 하지 못하도록 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 2023년 10월 31일 ITC에 BOE를 영업비밀 침해로 제소했다. 최종 판결은 오는 11월 이뤄질 예정이다. 다만 예비판결에서 ITC가 BOE의 영업비밀 침해, 직원 영입 등을 통한 기밀 부정 취득 등을 대부분 인정한 만큼, 결과가 뒤집힐 가능성은 사실상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업계에서는 이번 예비 판결을 두고 수혜가 기대된다는 예상이다. 중국 업체들의 기술에 대한 불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돼서다.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최근 글로벌 OLED 시장에서 점유율을 늘리며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 자리를 위협하고 있다.
당장은 큰 변화가 없을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BOE OLED 패널에 대한 직접 수입은 금지된다고 해도, 아이폰 등 완성품 형태로 미국에 수입되는 세트 제품은 제재 대상은 아니기 때문이다.
BOE 패널이 미국 시장서 완전 퇴출되는 것은 아닌 셈이다. 올 2·4분기 아이폰용 소형 OLED 패널 점유율에서 중국 BOE는 22.7%를 차지, LG디스플레이(21.3%)를 앞지르는 등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ITC는 지난달 11일 예비판결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보안 조치가 탁월한 수준이었음에도 BOE가 삼성디스플레이 영업비밀을 부정한 수단으로 취득해 사용했다"며 "삼성디스플레이에 실질적 피해와 심각한 위협을 초래했다"고 판단했다.
특히 ITC는 BOE의 OLED 패널이 14년 8개월 동안 미국에 수입될 수 없다는 '제한적 수입금지 명령'(LEO)을 내렸다. 또 ITC는 중국의 BOE 본사, 미국 현지 법인 등의 미국 내 마케팅·판매·광고·재고 판매 등을 모두 금지해 BOE가 미국에서 전반적인 영업활동을 하지 못하도록 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 2023년 10월 31일 ITC에 BOE를 영업비밀 침해로 제소했다. 최종 판결은 오는 11월 이뤄질 예정이다. 다만 예비판결에서 ITC가 BOE의 영업비밀 침해, 직원 영입 등을 통한 기밀 부정 취득 등을 대부분 인정한 만큼, 결과가 뒤집힐 가능성은 사실상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당장은 큰 변화가 없을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BOE OLED 패널에 대한 직접 수입은 금지된다고 해도, 아이폰 등 완성품 형태로 미국에 수입되는 세트 제품은 제재 대상은 아니기 때문이다.
BOE 패널이 미국 시장서 완전 퇴출되는 것은 아닌 셈이다. 올 2·4분기 아이폰용 소형 OLED 패널 점유율에서 중국 BOE는 22.7%를 차지, LG디스플레이(21.3%)를 앞지르는 등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