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고용노동부의 '2024년 산업재해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사고로 목숨을 잃은 노동자는 827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명(1.8%) 늘었습니다. 질병사망자도 전년 대비 67명(5.6%) 늘어난 1271명으로 조사됐습니다.
산재 사망 사고는 올해에도 어김없이 이어졌습니다. 포스코이앤씨를 비롯해 디엠지관리, 한국도로공사, 상원중공업, 디엘건설 등에서 노동자가 근무 중 숨졌습니다.
하루가 멀다하고 산재사망사고가 반복되자 정부는 2030년까지 산재 사망자 비율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으로 낮출 계획으로 알려졌습니다.
국기위는 모든 일하는 사람을 위한 안전 일터 구현을 위해 산재보상 국가책임제를 실현하고 일터권리 보장법 제정, 실노동시간 단축, 임금체불 근절 등의 과제를 담았습니다.
권창준 고용부 차관은 "고위험 영세 사업장을 4가지 유형별로 차별화해서 밀착 관리하고 노동부와 대검찰청 간 협의체를 구성해 중대재해 발생 시 수사 지휘와 그에 따른 대응을 공유하고 신속하게 처리하려고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현재 작업중지 명령제도가 운영되고 있으나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여러 위험성이 관련된 때 긴급 작업중지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밖에 현행 동시 2명 이상 사망인 건설사 영업정지, 입찰 제한 요청 대상을 연간 다수 사망으로 확대하고 법 위반으로 다수·반복 사망사고가 발생할 경우 법인에 대한 과징금 제도도 도입할 예정입니다.
산업 현장의 사망을 줄이기 위한 노력은 과거부터 이어져왔지만 매년 수백명의 노동자가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노동 존중'을 표방한 정부가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