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AI로 자연재해 대응"

  • 관계부처·기업들과 함께 AI 기반 자연재난 대응 활성화 논의

  • 전문가들 "지자체 보유 재난 데이터·국토 정보 기반으로 한 AI 연구 확대"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9일 강남구 도시관제센터를 방문한 뒤 행정안전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와 산업계·연구계 전문가들이 참석한 간담회를 열고 인공지능(AI)·디지털 기반의 자연재난 대응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최근 기후변화로 폭우·폭염 등 극한 기상이 잦아지며 자연재난의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기존 대응체계의 한계를 보완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AI 기술을 접목한 재난 예측 및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AI는 축적된 재난 데이터와 국토 지리 정보를 종합해 위험을 사전에 파악하거나 피해 확산을 신속하게 분석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간담회에는 쿠도커뮤니케이션, 인텔리빅스, 이지스, 알체라 등 재난대응 AI 기업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등 연구기관이 참석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디지털트윈 기반 도시침수 대응 시스템, 물관리 플랫폼, 내비게이션을 통한 홍수기 도로 위험 알림 서비스 등 사례를 소개했다. 쿠도커뮤니케이션은 부천시와 협력 중인 AI CCTV 실증 사업을 공유하며, 재난 대응 AI 모델 개발을 위해서는 원본 데이터 활용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지자체가 보유한 재난상황 데이터와 국토 정보를 기반으로 한 AI 연구 확대, 현장 적용을 통한 지속적 고도화, 공공 부문 도입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보완의 필요성에 의견을 모았다.

배경훈 장관은 “기후변화로 재난 예측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AI가 국민을 지키는 핵심 수단이 될 수 있다”며 “AI·디지털 기술을 재난 대응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