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가 도내 7개 대학과 함께 친환경 생활문화 확산을 위한 ‘탄소중립 그린캠퍼스’ 만들기에 나섰다.
도는 19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전형식 정무부지사, 대학 총장단, 학생 홍보대사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학교 다회용기 사용 협약 및 홍보대사 위촉식’을 개최했다.
이번 협약에는 국립공주대·남서울대·세한대·순천향대·연암대·청운대·혜전대 등 7개 대학이 참여했다.
이번 협약은 정부 목표보다 5년 앞선 2045년 탄소중립 실현과 1회용품 감축을 위한 실천 과제다. 협약에 따라 도와 대학은 △캠퍼스 내 보증금 기반 다회용기 순환체계(대여-사용-회수-세척) 구축 △실천계획 수립·이행 △ESG 경영 강화 등을 추진한다. 도는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재정적·행정적 지원에 나선다.
전형식 부지사는 “시대 변화를 주도하는 대학과의 협약은 친환경 소비 문화를 확산시키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특히 홍보대사 학생들이 SNS와 캠퍼스 곳곳에서 탄소중립 문화를 퍼뜨리는 촉매제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현재 도내 대학에서 하루 사용하는 1회용컵은 3000개 이상이다. 다회용기로 전환하면 연간 약 70만 개의 컵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10년생 나무 4500그루를 심는 효과와 맞먹는 30톤의 탄소 감축 효과가 예상된다.
이날 위촉된 '대학생 홍보대사 35명(학교별 5명)'은 캠퍼스 내 다회용기 사용 캠페인, SNS 콘텐츠 제작, 서포터즈 활동 등을 펼치며 탈플라스틱 문화를 선도한다.
도는 대학별 우수사례를 발굴·확산해 보증금제 기반 다회용기 사용체계의 표준모델을 마련하고, 이를 시군과 공공·민간 영역으로 넓혀갈 계획이다.
전 부지사는 “학생들의 작은 습관이 모여 사회의 표준이 될 수 있다”며 “충남 대학에서 시작된 이 변화가 전국으로 확산돼 탄소중립 실현을 앞당기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