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대통령실과 정치권 등에 따르면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는 삼성전자, SK, 현대차, LG 등 4대 그룹 총수를 포함해 주요 15개 기업 최고경영진이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한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 류진 한국경제인협회장을 비롯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허태수 GS그룹 회장,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이재현 CJ그룹 회장, 구자은 LS그룹 회장,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 등이 총출동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은 지난 1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순방에 함께하는 기업인과 간담회를 갖고 "정부 최대 목표는 경제를 살리고 지속 성장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라며 "수출 여건 변화로 정부와 기업 모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함께 힘을 모아 위기를 기회로 만들자"고 강조했다. 정부가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하고 재계가 이에 호응해 대미 투자에 나서는 '원 팀 모드'가 본격 가동된 것이다.
통상 전문가들은 우리 정부·기업이 일방적으로 퍼주는 형식이 아닌 윈-윈의 계기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김태황 명지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정부가 산업계 상황을 속속들이 알기 어려운 만큼 기업인들이 현장에서 직접 목소리를 낼 필요가 있다"며 "대미 투자 확대에 그칠 게 아니라 한국 기업이 실질적 이익을 챙길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미국이 보조금의 대가로 투자 기업 지분을 요구하는 등 변칙 수단을 활용할 가능성에도 면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김 교수는 "미국이 먼저 큰 금액을 걸고 '대신 지분을 내놔라'는 식의 요구는 전형적인 '앵커링 효과' 전략"이라며 "'미국에 무엇을 선물할까' 고민하는 태도 자체가 미국의 전략에 걸려든 것"이라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