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육군은 지난 25일부터 27일까지 경기도 여주 남한강 일대에서 '을지 자유의 방패'(UFS) 연습 계기 '한미연합 제병합동 도하훈련'을 실시했다고 전했다.
훈련에는 육군 제7공병여단 예하 도하단과 미 2사단·한미연합사단 예하 814다목적교량중대, 스트라이커여단, 2전투항공단 소속 장병 300여명이 참가했다.
한국형 자주도하장비 '수룡'과 리본부교, 개량형 전술부교를 포함한 130여대 장비와 미 스트라이커 장갑차 등 20여대의 기계화 전력이 투입됐다. 수룡은 평소에는 차량 형태로 기동하며 아군의 도하작전을 지원할 때는 문교와 부교로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는 수륙양용 도하 지원 장비다.
이번 훈련은 한미 양측의 도하 자산을 활용해 문교와 연합 부교를 구축하는 등 장비들의 상호운용성을 실질적으로 검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됐다.
훈련은 무인수상정과 공격단정을 활용한 수색 정찰로 시작됐다. 도하 지점을 확보한 연합군은 수룡을 문교 형태로 전환해 미 스트라이커 장갑차를 도하시켰다. 한미 장병들은 리본부교와 개량형 전술부교의 내부교절을 결합해 남한강을 가로지르는 280m 길이의 연합부교를 완성했다.완성된 부교를 통해 아군 부대가 신속히 기동함으로써 훈련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박상언(중령) 7공병여단 도하대대장은 “장병들이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체감하고, 연합군 도하장비의 상호운용성과 연합지휘통제, 연합정비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며 “한미가 함께 한다면 어떤 상황도 이겨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다”고 말했다.
숀 쿡(중령) 연합사단 공병대대장은 “이번 한미연합 도하훈련은 실전적 환경에서 가장 복잡한 공병작전을 수행함으로써 한미동맹의 강인함을 보여줬다”며, “이를 통해 어떠한 도전에도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를 유지하겠다는 한미 연합군의 의지를 강조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훈련에는 육군 제7공병여단 예하 도하단과 미 2사단·한미연합사단 예하 814다목적교량중대, 스트라이커여단, 2전투항공단 소속 장병 300여명이 참가했다.
한국형 자주도하장비 '수룡'과 리본부교, 개량형 전술부교를 포함한 130여대 장비와 미 스트라이커 장갑차 등 20여대의 기계화 전력이 투입됐다. 수룡은 평소에는 차량 형태로 기동하며 아군의 도하작전을 지원할 때는 문교와 부교로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는 수륙양용 도하 지원 장비다.
이번 훈련은 한미 양측의 도하 자산을 활용해 문교와 연합 부교를 구축하는 등 장비들의 상호운용성을 실질적으로 검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됐다.
박상언(중령) 7공병여단 도하대대장은 “장병들이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체감하고, 연합군 도하장비의 상호운용성과 연합지휘통제, 연합정비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며 “한미가 함께 한다면 어떤 상황도 이겨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다”고 말했다.
숀 쿡(중령) 연합사단 공병대대장은 “이번 한미연합 도하훈련은 실전적 환경에서 가장 복잡한 공병작전을 수행함으로써 한미동맹의 강인함을 보여줬다”며, “이를 통해 어떠한 도전에도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를 유지하겠다는 한미 연합군의 의지를 강조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