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일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 속에서 조만간 ‘미 관세 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발표하겠다"며 새로운 통상 환경 변화에 대응해 새 정부의 ‘신대외경제전략’을 조만간 구체화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고 △한미 정상회담 경제성과 후속조치 추진계획 △한일 정상회담 경제성과 후속조치 추진계획 △시장 다변화를 위한 아세안 통상협정 추진현황 및 계획 등을 논의했다.
그는 지난 주 개최된 한미 정상회담과 관련해 "한미 양국 간 경제·안보·첨단기술이 결합된 ‘미래형 동맹’ 관계로 발전하기 위한 전기를 마련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구 부총리는 "항공, LNG, 핵심 광물 등에서 2건의 계약과 9건의 MoU 체결 등을 통해 ‘한미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 교두보를 마련했다"며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 금융 패키지는 지난 7월 30일 큰 틀에서의 합의를 재확인한 의미가 있으며 세부 실행 방안 마련을 위한 양국 간 협의를 지속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양국 간 경제 현안과 관련된 실질적인 논의들을 진전시킨 계기가 됐다"며 △경제안보 소통 강화 △수소·AI 등 미래산업 협력 △공통 사회문제 협의체 출범 등을 주요 성과로 꼽았다.
구 부총리는 "우리 공급망을 안정시키고 수출 시장 다변화를 위해서는 글로벌 3위 시장 규모를 가진 아세안과의 네트워크 고도화가 필수"라며 "말레이시아·태국·싱가포르 등 아세안 주요국과의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글로벌 사우스 진출의 교두보인 말레이시아와 FTA 체결을 조속히 마무리하고 아세안 3위 경제 규모를 가진 태국과도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CEPA) 체결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글로벌 금융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는 싱가포르와 2006년 FTA 발효 시점 이후의 경제·통상 환경 변화를 반영해 개선 협상을 추진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