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총리 "'스드메 가격' 불공정 여전…소비자 권익 침해 감시 강화해야"

  • 소비자정책위원회 주재…"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대책 꼼꼼히 마련 필요"

김민석 국무총리가 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5차 소비자정책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가 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5차 소비자정책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는 "모든 관계부처가 소비자 권익을 침해하는 요소들에 대해서 감시를 강화하고 관련 제도를 철저히 보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2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5차 소비자정책위원회를 주재하고 "기업의 제품을 구매해 주는 소비자에 대한 신뢰확보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내수회복도 기업 경쟁력 제고도 모두 사상누각(沙上樓閣)에 지나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총리는 "우리 경제가 복합위기에 처해 있다"며 "미국발 통상압력, 중국발 물량공세 등으로 기업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고 만성화된 내수 침체로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가 기업애로 해소와 경기활력 제고를 위해서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소비자가 누리는 실질적 권리는 여전히 제약받고 있다는 목소리가 많다"며 "일례로 '스드메 깜깜이 가격'과 같은 정보 비대칭영역에서의 불공정 관행이 여전하다"고 전했다. 스드메는 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의 줄임말로, 결혼 준비 서비스를 말한다.

그는 또 "온라인플랫폼이나 이커머스와 같은 디지털 경제가 주는 소비생활의 편리함이 있지만 다른 알고리즘 편향 같은 새로운 유형의 소비자 피해도 생기고 있다"며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라고 했다.

아울러 김 총리는 "오늘 회의에서는 국민 생활 밀접 분야에서 수비자 권익 제고를 위해서 어린이 놀이터 바닥재의 안전기준 강화, 의류건조기와 디카페인 커피의 표시기준 개선, 전기차 충전시설 방호장치 확충 등 일상생활에서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을 추진해 나가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국민 10분 중 7분이 전자상거래를 통해서 소비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상거래 분야에서의 소비자 보호대책도 꼼꼼히 마련해야 하겠다"며 "오늘 저희가 논의하는 여러 가지 정책적 노력을 통해서 소비자 주권 확립에 한 발짝 더 가까워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