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업계에 따르면 정 전 사장은 지난달 3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강릉 가뭄사태, 예견된 참사!'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정 전 사장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한수원 사장을 지냈다.
한수원 사장 재임 시절이던 2019년에도 강릉 가뭄 사태가 계속되고 있었다고 언급한 정 전 사장은 "당시 강릉시장과 인근주민들을 설득해서 강릉과 가깝고 과거 물을 공급했던 도암댐 발전재개를 통해 원수 공급을 제안한 바 있다"며 "2년이 넘게 수차례에 걸친 수질 정화 노력과 주민토론회를 거쳐 2021년 하반기부터 강원대 교수, 인근 단체장 등과 공개행사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또 "저수지 수질개선 사실을 확인해주기 위해 저와 당시 강릉시장이 현장에서 저수지물을 떠 마시기까지 했다"며 "당시 프로젝트가 추진됐다면 지금과 같은 가뭄은 없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2022년 초부터 도암댐 발전재개를 위한 공론화가 시작됐고 당시 시장과 의욕을 가지고 사업을 본격 추진하기 시작했다"며 "그러나 정권 교체 이후 강릉시장 후보가 바뀌고 현시장이 나타나 도암댐 발전재개와 원수 확보계획을 무산시켰다"고 주장했다.
정 전 사장은 "지금도 당시 상황과 시장의 결정을 이해할 수 없었다"며 "한 번의 잘못된 선택으로 시민들이 얼마나 고통받을 수 있는 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