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한은에 따르면 분기별 통계의 분배 국민소득은 경제활동으로 창출된 부가가치가 생산요소를 제공한 각 주체에게 어떻게 분배됐는지 파악하기 위한 지표다. 신규 제공 대상 기간은 2010년 이후부터다.
세부 항목으로 피용자보수, 총영업잉여, 순생산 및 수입세, 가계총처분가능소득, 가계총저축, 가계순저축률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분기 가계소득 및 저축률을 통해 가계의 소득과 소비활동 결과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실제 코로나19가 확산하던 2020년 2분기 가계순저축률은 12.9%에 달했으나, 방역 조치가 완화된 2022년 3분기에는 2.2%로 급락했다. 과거 가계순저축률 등의 지표가 연간 기준으로만 작성됐을 때는 빠르게 파악하기 어려웠던 흐름이다.
한은 관계자는 "속보성 있는 경제 상황 판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장기 시계열을 공표함에 따라 경제 주체별 소득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